광복이후 첫 메달리스트 김성집 옹 타계
1919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 고문은 한국에 역도를 보급한 서상천 선생을 만나며 역도를 시작했다. 불과 2년 만에 1935년 제6회 전 조선 역기대회 중체급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보인 김 고문은 이듬해 1936년 베를린올림픽 조선 예선에서도 317.5㎏을 들며 우승했다. 하지만 당시 일본역도연맹이 김 고문이 만 18세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출전을 불허해 올림픽 출전에는 실패했다.
이후 휘문중학교에서 선수들을 가르치던 김 고문은 1948년 런던올림픽 대표 선발전에서 미들급 합계 385㎏으로 우승하며 올림픽 재도전에 나섰다. 마침내 1948년 런던올림픽에 나선 김 고문은 합계 380㎏으로 미들급 동메달을 따내며 대한민국에 첫 올림픽 메달을 선사했다. 이후 김 고문은 전쟁 중이던 1952년 헬싱키올림픽에서도 동메달을 목에 걸며 한국 올림픽 역사상 첫 연속 대회 메달리스트가 되기도 했다.
1956년 멜버른올림픽에서 5위를 기록한 김 고문은 이후 행정가로 변신해 체육계에 기여했다. 김 고문은 1960년 대한체육회 이사가 된 뒤 체육회 사무총장, 체육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스포츠 행정 발전에도 큰 족적을 남겼다. 특히 김 고문은 총 13년7개월을 태릉선수촌장으로 지내 역대 최장기간 자리를 지킨 태릉선수촌장으로 남았다.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이며 장지는 경기도 안성 천주교 추모공원이다. 발인은 23일 오전 8시다.
[이용익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내부순환로 7.5km 전면 통제..내일부터 한달간
- '여야원내대표 3인' 매경·MBN·한길리서치 공동여론조사
- BMW에 도깨비불?..석달새 8번 원인모를 잇단 화재
- 한미연합, 北 내륙 진격작전 등 압박에 北 김정은 맞불
- 새누리당, 이한구 '현미경 심사'에 현역 대폭 물갈이?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