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이후 첫 메달리스트 김성집 옹 타계

이용익 2016. 2. 21. 22: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48년 런던올림픽서..태릉선수촌장·체육회 이사 역임
광복 후 대한민국에 첫 올림픽 메달을 안겼던 김성집 대한체육회 고문이 20일 오후 별세했다. 향년 97세. 김성집 고문은 지난 1월 21일 중앙대병원에 입원했다가 한 달여 만에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1919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 고문은 한국에 역도를 보급한 서상천 선생을 만나며 역도를 시작했다. 불과 2년 만에 1935년 제6회 전 조선 역기대회 중체급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보인 김 고문은 이듬해 1936년 베를린올림픽 조선 예선에서도 317.5㎏을 들며 우승했다. 하지만 당시 일본역도연맹이 김 고문이 만 18세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출전을 불허해 올림픽 출전에는 실패했다.

이후 휘문중학교에서 선수들을 가르치던 김 고문은 1948년 런던올림픽 대표 선발전에서 미들급 합계 385㎏으로 우승하며 올림픽 재도전에 나섰다. 마침내 1948년 런던올림픽에 나선 김 고문은 합계 380㎏으로 미들급 동메달을 따내며 대한민국에 첫 올림픽 메달을 선사했다. 이후 김 고문은 전쟁 중이던 1952년 헬싱키올림픽에서도 동메달을 목에 걸며 한국 올림픽 역사상 첫 연속 대회 메달리스트가 되기도 했다.

1956년 멜버른올림픽에서 5위를 기록한 김 고문은 이후 행정가로 변신해 체육계에 기여했다. 김 고문은 1960년 대한체육회 이사가 된 뒤 체육회 사무총장, 체육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스포츠 행정 발전에도 큰 족적을 남겼다. 특히 김 고문은 총 13년7개월을 태릉선수촌장으로 지내 역대 최장기간 자리를 지킨 태릉선수촌장으로 남았다.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이며 장지는 경기도 안성 천주교 추모공원이다. 발인은 23일 오전 8시다.

[이용익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