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주택가격 상승 없이 가계부채가 급격히 증가"

2016. 2. 20. 10: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재현 기자]세계 주요나라와는 달리 한국은 주택가격의 상승 없이 가게부채가 급격히 증가한 나라라는 분석이 나왔다.

OECD는 이 같은 내용등을 담은 ‘OECD국가들의 가계부채’(Household debt in OECD countries)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의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 수준은 164.2%로 OECD국가 27개국 중 9위 수준으로 분류됐다. 1위는 무려 320%를 기록한 덴마크이며 네덜란드(290%), 아일랜드, 노르웨이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캐나다(8위)와 독일(10위)사이에 위치했다.


보고서는 이들 국가에 대해 “가계부채의 급격한 증가는 주택가격의 상승과 연결돼 있다”면서도 “단, 한국의 경우 가계부채와 주택가격 상승이 관계가 없었다”고 말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OECD 수석 경제학자 크리스토프 앙드레(Christophe André)는 그러나 한국을 호주, 캐나다, 노르웨이등과 함께 ‘가계부채 수준은 높지만 가계수지 및 주택시장에 큰 손실 없이 세계적 경기 침체를 잘 헤쳐나가는 국가(countries with high household debt levels, have sailed through the global downturn without major damage to household balance sheets and housing markets)라고 분류했다.

보고서는 한국에 대해 2002년부터 주택 담보인정비율(LTV)을, 2005년부터는 총부채상환비율(DTI)을 활발히 사용해왔다며 이들이 주택가격 인상과 거래를 낮췄다고 평했다. 또 보고서는 주택 담보인정비율의 효과가 총부채상환비율의 효과보다 컸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가계부채가 가계와 금융 및 전체 경기에 위험을 초래할 수는 있지만 가계부채가 높다는 것이 경제위기의 시금석이 되는 것은 아니다”며 “많은 OECD국가에서 경제를 뒷받침 하고 인플레이션을 불러오기 위해선 통화조절정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제언했다.

madpe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아이 영어글쓰기, 어떻게 교육하나요]
김정은 이혼남 결혼, 무엇이 문제죠?
GS건설이 분양하는 “마포자이3차”... 입주 때는 “분양가가 전세가
‘파격 노출’로 제재까지…알고보니 ‘마귀 탓’
[이슈앤토픽] 얼굴은 초절정 청순미, 몸매는 상남자?…핵반전
‘걸그룹 올킬’ 日아나운서 꽃미모…초토화
섬에 갇힌 외톨이 침팬지, 3년만에 구조…사람보고 ‘와락’
‘밧줄’ 설현 광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北, 고영환 암살 지시…밀착 경호중”…탈북한 외교관 출신
‘썰전’ 전원책, 거침없는 김정은 독설…시청률 최고 기록
GS건설이 분양하는 “마포자이3차”... 입주 때는 “분양가가 전세가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