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아이폰 잠금해제 또 요청.."해제거부는 마케팅전략"

2016. 2. 20. 09: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법원에 요청서 보내 "애플의 '고객보안 위협' 주장 근거없다" 애플 고위 경영진 "법원이 아닌 의회에서 논의돼야"
애플 "고객보안이 최우선" (샌프란시스코 AFP=연합뉴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17일(현지시간) '고객에게 드리는 메시지'를 통해 "미국 정부는 애플이 우리 고객의 보안을 위협하는 전에 없는 조처를 받아들이라고 요구해 왔다"며 "우리는 이 명령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쿡은 미 연방수사국(FBI)의 요구를 수용하는 행위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위협할 '위험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경계했다. FBI는 작년 12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버너디노에서 14명이 숨진 무슬림 부부의 총기난사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아이폰 보안체계를 뚫지 못해 속을 태워 왔다. 이와 관련 법원은 앞서 애플에 FBI의 총기테러 수사를 위해 이들 테러범의 스마트폰 잠금해제를 위한 기술 지원을 명령했다. 사진은 2015년 9월9일 샌프란시스코의 미디어 행사에서 한 참석자가 애플사 로고 앞을 지나는 모습. bulls@yna.co.kr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캘리포니아 법원에 요청서 보내 "애플의 '고객보안 위협' 주장 근거없다"

애플 고위 경영진 "법원이 아닌 의회에서 논의돼야"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미국 법무부가 테러범의 아이폰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잠금장치 기능을 해제해줄 것을 재차 요청하고 나섰다.

아울러 앞서 테러범의 아이폰 잠금 해제를 도우라는 법원 명령을 거부한 애플의 결정을 '마케팅 전략'이라고 비난해 관련 논란이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와 AFP통신 등 보도에 따르면 연방 법무부는 이날 샌버너디노 총기 테러범의 아이폰 잠금을 풀어 정보를 빼낼 수 있도록 애플에 법원 명령을 내려달라고 캘리포니아주 연방지법에 요청했다.

이는 앞서 애플이 거부한 로스앤젤레스(LA) 연방지법의 명령을 집행하도록 재차 요청한 것이다.

LA 연방지법은 LA 연방지방검찰청의 요청을 받아들여 연방수사국(FBI)이 샌버너디노 총기 테러범인 사예드 파룩의 아이폰5C 잠금을 해제해 안에 담긴 암호화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애플이 기술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지난 16일 명령했다.

팀 쿡 애플 CEO는 그러나 이 명령이 아이폰에 접근하는 '뒷문'을 만들라는 의미이며 고객의 개인정보를 위협할 '위험한 선례'가 될 것이라면서 거부한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법무부는 19일 다시 법원명령을 요청하면서 애플의 명령 거부 사유가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법무부는 명령 요청서에 "해당 명령은 애플의 입장과 달리 모든 아이폰에 '뒷문'을 만들라고 요구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명령에 따른다고 해커나 범죄자들이 아이폰에 접근할 경로를 열어주거나 애플이 자사 고객을 해킹하도록 만드는 것도 아니다"라고 적었다.

법무부는 또 애플이 테러범 아이폰 잠금 해제를 도울 수 있음에도 FBI의 요청을 거부한 것이 법리적 근거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회사의 사업 모델과 브랜드 마케팅 전략상의 우려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해당 명령 요청과 관련한 심리는 내달 22일에 열린다고 AFP는 전했다.

이와 대해 애플 측에서는 잠금해제와 관련한 논란이 법원이 아닌 의회에서 논의돼야 한다고 반박했다.

익명을 요구한 애플의 고위 경영진은 19일 기자들과의 전화 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 경영진은 개인정보와 시민권 보호의 전통이 취약한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아이폰 잠금 기능 무력화 기술을 내놓으라는 법원 명령이 내려진 데에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법무부가 재차 법원명령을 요청, 애플에 대응할 기회를 주는 대신 언론을 통한 여론몰이를 꾀한다고 비판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inishmore@yna.co.kr

☞ 트럼프 "애플이 승복할 때까지 삼성 휴대전화만 쓰겠다"
☞ '허각 쌍둥이 형' 가수 허공 술집서 주먹다짐해 입건
☞ 美국민소설 '앵무새 죽이기' 작가 하퍼 리 타계
☞ 케냐 수도서 사자 6마리 탈출…주택가 배회
☞ 60대 가수 A씨, 후배 여가수에 성추행 혐의 피소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