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포화지방 섭취, 숙면에 방해
<앵커 멘트>
당분이나 지방 과다 섭취가 비만의 주범이라 건 잘 알고 계시죠?
그런데, 이런 식생활이 수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분이나 포화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숙면에 방해가 된다는 겁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사무실의 오후 모습입니다.
직장인들이 담소를 나누면서 간식을 먹습니다.
빵과 음료수, 패스트푸드는 단골 간식거리입니다.
<녹취> 장승원(서울 강서구) : "회사에서 일하다가 스트레스 받고 이러면은 빵이라든가 간식이라든가 많이 생각이 나고 하나씩 먹게 되는 것 같아요."
간식에 포함된 당분이나 포화지방이 수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강한 성인들에게 단백질과 채소가 풍부한 음식과 당분이나 지방이 많은 식단을 각각 섭취하게 한 뒤 수면 상태를 비교했습니다.
수면 중 뇌파를 측정한 결과, 당분이나 지방을 많이 먹은 날에는 깊은 잠의 단계인 '서파수면'이 줄었습니다.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도 17분이 늘었습니다.
당분이나 포화지방을 많이 섭취할 경우 잠들기가 어려워지고, 숙면에도 방해가 된다는 뜻입니다.
<인터뷰> 이은(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교수) : "혈당이 올라가면 인슐린이 많이 분비되는데 많이 분비된 인슐린이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뇌에 영향을 줘 수면을 방해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숙면을 위해서라도 단백질과 채소류의 섭취를 늘리고, 탄수화물과 지방은 줄이는 게 좋습니다.
국내 성인 인구의 12%인 4백만 명이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이충헌기자 (chleemd@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영상] 시내버스 상대로도..오토바이의 '보복운전'
- [영상] 美 여성 노숙인이 아이를 낳은 곳
- [취재후] 200억 원 산약초 타운 '애물단지' 전락
- 中, ICBM '둥펑31-A' 발사 장면 첫 공개
- [2002년 오늘] 쓸모없는 대학 졸업장(?), 다시 학원에
- SKT ‘유심 무료 교체’ 시작…현장 ‘북새통’
- 충북 청주 모 고교서 학생 흉기 난동…7명 다쳐
- 서울 버스노조 쟁의행위 찬반투표…‘30일 파업’ 저울질
- 생전 유언 따라 묘비명만…교황의 소박한 무덤, 일반에 공개
- 중국 쉬인, 377% 올린 품목도…‘관세 부메랑’ 맞은 미국 소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