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 신용등급 무더기 강등..왜?
[동아일보]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등 주요 산유국들의 국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산유국들이 재정 수입 대부분을 석유 판매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저유가 상황이 이어지면 재정이 나빠지고 경제위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17일(현지 시간) S&P는 세계 최대 원유생산국인 사우디의 국가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두 단계 낮췄다. 사우디 국가 신용등급은 지난해 10월에 이어 석 달 만에 추가 강등됐다. S&P는 “유가 하락으로 사우디의 재정 및 경제지표는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P는 오만(BBB+ → BBB-)과 바레인(BBB- → BB)의 신용등급도 두 단계 강등시켰다. 이번 조치로 오만의 신용등급은 투자적격 등급 중 최저 수준으로, 바레인은 투기 등급으로 떨어졌다. S&P는 남미의 대표 산유국인 브라질의 신용등급도 ‘BB+’에서 ‘BB’로 한 단계 낮췄고 카자흐스탄의 신용등급도 ‘BBB’에서 ‘BBB-’로 떨어뜨렸다.
대대적인 신용등급 강등 조치는 저유가 현상이 계속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 따른 것이다. 최근 사우디, 러시아, 베네수엘라, 카타르 등이 모여 생산량 동결에 합의했지만, 이런 조치가 실제 유가를 끌어올릴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많다.
특히 서방과의 핵 협상 타결로 국제사회에 복귀하는 이란의 경우 대대적인 사회 및 산업 인프라 구축에 많은 돈이 필요해 증산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실제 이란은 최근 산유국들의 동결 움직임에 지지 입장을 밝히면서도 이에 동참할지에 대해선 명확한 의사 표시를 하지 않고 있다.
이세형기자 turtle@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국회·대통령 집무실 세종으로…임기 내 건립”
- [송평인 칼럼]대선 경쟁이 팽팽해지기 위한 3가지 조건
- [속보]한은, 기준금리 연 2.75% 동결
- 권성동 “이재명, 공수처 강화 공약은 대규모 정치보복 빌드업”
- 헌재 “권한대행이 재판관 지명, 극심한 혼란 생길 것”
- 美, 저성능 AI칩도 中수출 통제… 관세전쟁, 반도체로 확전
- 용인 일가족 살해 가장은 분양업체 대표… 수십억 사기 고발당해
- [단독]건진 “尹과 친분” 檢 진술… 尹장모와 10차례 통화 기록도
- 절대강자 없는 국힘 경선… 의원들 ‘어디에 줄서나’ 눈치게임
- 파월 “관세로 美물가 상승하고 성장 둔화될 것”…금리동결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