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중독, 마약과 유사하게 뇌에 영향" (美 연구)

2016. 2. 18. 16: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소셜미디어의 대표 서비스인 '페이스북' 중독이 마약인 코카인 중독과 우리 뇌에 유사한 영향을 미친다는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오피르 투렐 교수 연구팀은 페이스북 중독시 마약 중독에 걸렸을 때와 같은 뇌 부위가 활성화 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지난해 8월 하루 이용자수 10억 명을 돌파한 페이스북은 디지털 시대의 소통 도구로 최고의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실제 인간관계는 더 멀어지고 정체성은 소멸되며 급기야 우울증까지 앓고 있는 사람이 등장할 만큼 부작용에 대한 경고도 줄을 잇고 있다.

이번에 투렐 교수 연구팀은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대학원생 20명을 대상으로 이로 인한 중독 증상인 갈망, 금단, 갈등 등을 설문조사해 평가했다. 또한 이와 별도로 컴퓨터 스크린에 페이스북 관련 이미지와 무작위 이미지를 보여주고 버튼을 빨리 누르는 실험과 동시에 그들의 뇌 활동을 촬영했다.    

그 결과는 흥미롭다. 페이스북 중독자의 경우 페이스북 관련 이미지를 봤을 때 가장 빨리 버튼을 눌렀으며 일부 피실험자의 경우 교통신호보다 페이스북 이미지에 더 빨리 반응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동시에 이들의 뇌 편도체(amygdala)와 줄무늬체(striatum)가 활성화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뇌의 이 부위들은 주로 특정 욕망에 대한 갈구와 보상심리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코카인 등 마약 중독자들의 뇌에서도 유사하게 활성화되는 곳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곧 마약 중독과 페이스북 중독이 우리 뇌에 유사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 연구를 이끈 투렐 교수는 "일부 SNS 사용자들이 교통신호보다 페이스북에 더 빨리 반응한다는 것은 운전 시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교수는 마약 중독자와 페이스북 중독자 사이에 커다란 차이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투렐 교수는 "일반적으로 우리 뇌는 자동차의 액셀같은 역할을 하는 충동적 시스템(impulsive system)과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억제 시스템(inhibitory system)이 존재한다"면서 "마약 중독자의 경우 억제 시스템이 망가져 조절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페이스북 중독자의 경우 억제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치료를 통해 어렵지 않게 교정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청사에서 알몸으로 사랑 나눈 공무원…CCTV 포착☞ 20대 女교사, 교실에서 16세 장애 학생과 성관계☞ 지구로 돌진해오는 소행성…NASA의 방어법은 두 가지!☞ 男→女 트랜스젠더 범죄자, 교도소는 어디로?☞ 2월 아랍에미리트 사막에 눈, 우박이 쏟아지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