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범 아이폰 잠금해제 요청 거부' 애플에 구글·왓츠앱도 지지

최광 기자 2016. 2. 18. 14: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쁜 선례 만들어선 안돼"..정치권은 찬반양론 휩싸여

[머니투데이 최광 기자] ["나쁜 선례 만들어선 안돼"…정치권은 찬반양론 휩싸여]

팀 쿡(왼쪽부터) 애플 CEO, 선다 피차이 구글 CEO, 얀 쿰 왓츠앱 CEO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테러범의 잠겨진 아이폰을 미 연방수사국(FBI)가 들여다볼 수 있도록 잠금장치를 해제하라는 법원의 명령을 거부한다는 메시지를 고객들에게 보내자, 구글과 왓츠앱 등 미국 ICT 대기업들이 동조하고 나섰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17일(현지시간) 공개한 '고객에게 드리는 메시지'를 통해 "미국 정부는 애플이 우리 고객의 보안을 위협하는 전에 없는 조처를 받아들이라고 요구해 왔다"며 "우리는 이 명령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쿡 CEO은 FBI의 요구를 수용하는 행위가 고객의 개인정보를 위협하는 '위험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스앤젤레스(LA) 연방지법은 미 캘리포니아 주(州) 샌버너디노에서 지난해 12월 발생한 무슬림 부부의 총기 난사 사건과 관련, 애플에 FBI의 총기 테러 수사를 위해 이들 테러범의 스마트폰 잠금해제를 위한 기술 지원을 명령했다.

FBI는 14명을 살해한 이들 테러범 부부의 아이폰 교신 내용을 파악해 공범의 존재 여부나 극단주의 세력과의 연계성을 조사하려고 하지만, 잠금장치와 암호를 풀지 못해 수사의 어려움을 겪는 상태다.

아이폰은 기기가 잠겨 있으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잠금이 해제되고, 10번 이상 잘못 입력하면 기기의 모든 자료는 삭제되고 아이폰은 초기화된다. FBI는 테러범의 아이폰을 확인하기 위해 10번의 제한을 풀어달라고 요청했다.

쿡 CEO는 "FBI가 중요한 보안 기술을 회피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 용의자의 아이폰에 설치하기를 원한다"며 "정부는 애플이 이용자를 해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십 년 동안 발전시켜온 보안을 해치려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이번 법원 명령에 거부한다"며 "그 명령은 당면한 법률문제의 차원을 뛰어넘는 더 심각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쿡 CEO의 메시지에 선다 피차이 구글 CEO와 얀 쿰 왓츠앱 CEO도 동조하고 나섰다.

피차이 CEO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쿡의 메시지는 대단히 중요한 것"이라며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침해할 수 있는 해킹을 강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법 집행 기관과 정보기관이 범죄와 테러에 대해 대중을 보호하는 중대한 도전에 직면한 것을 알고 있다"면서도 "우리는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보안을 구축하고 유효한 법적 테두리 안에서 법에 정한 대로 정보 접근 권한을 부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피차이는 "고객 장치와 데이터를 해킹할 수 있도록 기업에 요구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라며 "이 중요한 문제에 대해 열린 토론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쿰 CEO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자신의 입장과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쿡의 결정을 존경한다"며 "위험한 선례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애플의 거부 의사에 대해 미국 정가도 찬반양론으로 갈라섰다. 대니언 파인스타인 캘리포니아 상원의원은 "애플이 자발적으로 명령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이를 강제하는 법안을 만들 것"이라며 "14명을 살해한 테러행위가 있었고, 그것의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암호화에 달려있다면 애플은 협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선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후보도 "애플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이라며 "그것을 강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론 와이든 오레곤주 상원의원은 "FBI의 요청은 미국의 온라인 안전과 보안에 대한 나쁜 방법"이라며 "그들에게 암호화를 회피하는 '청사진'을 제공하는 것은 정부에 '억압적인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광 기자 hollim324@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