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시즌.. 청년실업률 16년 만에 최악
세종=이태규기자 2016. 2. 17. 18:20
작년보다 0.3%P 올라 9.5%
졸업 시즌을 맞아 청년실업률이 1월 기준으로는 16년 만에 최악의 기록을 냈다. 17일 통계청의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15~29세)실업률은 9.5%로 1년 전에 비해 0.3%포인트, 전월보다는 1.1%포인트 올랐다.
졸업이라는 계절적 특이요인을 제외하기 위해 역대 1월 수치만 비교하면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2000년(11%) 이후 가장 높다. 월별로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의 여파가 컸던 지난해 6월(10.2%)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다.
청년실업률 상승은 졸업 시즌,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증대, 1월부터 의무화된 대기업(300인 이상 사업장) 정년 연장(60세까지) 등 세 가지 악재가 맞물린 결과다. 통상 1월은 고등학교·대학의 졸업반 학생들이 구직활동에 나서며 실업률이 상승한다.
기업들도 국제유가 추가 급락,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도입, 미국·중국 등 주요2개국(G2) 리스크 등 불확실성이 커진데다 정년연장 의무화로 인건비 부담도 증가해 신규 채용을 꺼리고 있다.
청년실업자 수도 반년 만에 40만명대로 올라섰다. 1월 청년실업자는 41만3,000명으로 1년 전에 비해 1만8,000명, 한 달 전보다 4만8,000명이 불어났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co.kr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경제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단독] 삼성, '딥시크 AI'로 반도체 사업 혁신 나선다
- 70% 넘보나…李 지지율 5주째 올라 64.6% ‘순항’
- 대출 규제에 웅크린 서울 아파트…최고가 거래 74% 급감 [집슐랭]
- '사천피 정점 아닌 시작'…빚투 3년만에 21조 넘었다
- 내란특검 尹 강제인치 진통…체포영장·강제구인 모두 불투명
- [단독] '온플법' 반대하는 美에…정부 고심 깊어진다
- 12만달러 찍은 비트코인…美월가 '다음은 이것'[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 [단독] HBM 더 얇게 만든다…LG '꿈의 장비' 도전
- “돌아가겠다”는 의대생·전공의…의료계-시민사회 극명한 온도차
- 트럼프 '다들 관세 낮추려 시장 개방…한국도 협상 타결 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