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과일 많이 먹으면 비만 위험 줄어든다
청소년 시기에 과일을 많이 먹을수록 비만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강재헌, 허양임 교수팀이 2008년 초등학교 4학년 학생 770명을 대상으로 당 섭취 종류에 따른 비만과 대사 질환 관계에 대해 분석했다. 그 결과, 과일 섭취를 많이 할수록 체질량지수(BMI)와 체지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년 후 770명 중 605명의 학생을 추적 조사한 연구 결과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음료를 통해 섭취한 총 당류가 많으면 대사 이상 위험이 높아졌다.
연구 대상 아이들의 1일 총열량 섭취량은 1660칼로리였으며, 당류 섭취량은 33.1g으로 하루 열량 섭취량 중 8% 차지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당 섭취량을 전체 섭취 에너지의 10% 미만으로 제한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5% 미만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당 섭취가 많으면 비만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과일에 함유된 당은 많이 먹어도 비만 위험이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과일은 에너지 밀도가 낮고(부피가 크면서 열량이 낮은) 수분,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소가 들어 있어 단순 당(액상과당)과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이 설명이다. 또 부피가 크고 식이섬유가 많아 포만감을 자극함으로써 고열량 음식의 섭취를 줄여주는 효과도 있을 거라 보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한국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1997년 5.8%, 2005년 9.7%, 2007년 10.9%, 2010년 10.8%로 10년 사이 약 2배 정도 증가하고 있다. 소아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고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소아비만 예방이 중요하다.
강재헌 교수는 "당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에너지원이지만, 과도하게 섭취하면 비만과 대사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며 "햄버거나 피자 같은 동물성 식품 섭취와 액상과당이 들어 있는 음료 섭취를 줄이고 신선한 과일 위주의 식습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허양임 교수는 "이미 생활습관이 굳어지고 비만으로 인한 질환이 나타나는 성인기의 비만 치료는 한계가 있으므로, 소아청소년비만의 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비만을 예방하는 것은 중요한 공중보건학적인 과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총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목표 식품군을 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SCI급 국제학술지 영양학(nutrients) 최신호에 게재됐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멍멍냥냥] ‘이 과일’ 강아지에게 그냥 나눠주다간… 장폐색 위험
- 한해, “단시간에 4kg 감량”… ‘이 유혹’도 꾹 참으며 성공, 뭐길래?
- “여태 잘못했네”… 치아 모양 따라 적합한 양치법 따로 있어
- 홍현희 “첫 4km 성공”… 러닝 후 ‘이것’ 먹기까지, 근육 키울 때 최고?
- 케첩은 찬장에 보관하고… 올리브오일은?
- 하루에 '이 음료' 세 잔만 마셔 보세요… 젊음 오래 유지합니다
- “뼈밖에 없고, 몸 망가져” 모델 이혜정 다이어트 후유증 고백, 어떻게 뺐길래?
- “홀쭉해져서 놀랐다” 지예은… ‘이 시술’로 턱살 없앴다는데, 어떤 원리?
- 박지윤 “다이어트 실패” 근황… ‘이것’ 폭풍 흡입했다는데, 얼마나 찌길래?
- “영화 같은 사랑”… 74년 함께 산 90대 부부, 같은 날 세상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