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크림 등급 'PA++++' 신설 검토..자외선 강해져

2016. 2. 17. 06: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외선 차단등급 3단계 → 4단계로 늘어날 듯

자외선 차단등급 3단계 → 4단계로 늘어날 듯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기능성 화장품의 하나인 자외선 차단제(선크림)의 효능을 강화한 제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지구온난화로 자외선 강도가 강해진 데 따른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자외선 차단제에 표시된 'PA'(자외선차단지수)의 범위를 현행 3단계에서 4단계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PA(Protection grade of UVA: 자외선A 차단등급)는 자외선 A를 차단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현재는 PA+, PA++, PA+++ 등 3개로만 표시하고 있다. '+'가 많을수록 자외선 A 차단에 효과적인 제품을 뜻한다.

식약처는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PA++++'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화장품업계는 지구온난화와 오존층 파괴 등으로 자외선이 점점 강해지면서 일본도 PA++++를 표시할 수 있게 허용하고 있다며 식약처에 규제 완화를 요구해왔다.

태양빛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등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자외선은 가시광선보다 짧은 파장을 가진 광선으로 살균작용이 있다.

자외선(UV: Ultra Violet)은 더 세부적으로 자외선A(UVA), 자외선B(UVB), 자외선C(UVC)로 구분된다.

자외선A와 자외선B는 지표면까지 도달해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한다. 자외선C는 오존층에 흡수돼 인체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파장이 긴 자외선A는 피부 깊숙이 침투해 잔주름 등 피부 노화에 영향을 준다. 자외선B에 오래 노출되면 피부에 홍반이 생기고, 피부암, 안질환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외선B를 차단하는 정도를 나타낼 때는 SPF지수(Sun Protection Factor : 자외선차단지수)를 사용한다.

SPF지수는 50까지 나타낼 수 있으며, 50 이상은 '50+'로 표기한다. 숫자가 클수록 자외선B 차단에 효과적인 제품임을 뜻한다.

식약처는 여름철 실내에서는 SPF10 전후, PA+ 제품을 사용하면 되고, 외출 등 간단한 실외 활동에는 SPF10~30, PA++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권했다. 스포츠 등 야외 활동에는 SPF30, PA++ 이상을 쓰고, 해수욕 등으로 장시간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SPF50+, PA+++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식약처는 자외선 차단지수가 높을수록 피부에 강한 자극을 줘 피부 트러블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무조건 차단지수가 높은 것을 사용하기 보다는 노출예상시간, 자외선 강도 등 상황에 적절한 SPF와 PA지수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shg@yna.co.kr

☞ '핑클' 이진, 6세 연상 남자친구와 20일 하와이서 결혼
☞ 보복운전으로 女운전자 사망…현장검증서 딱 걸려
☞ 스폰서 보호하려 "남친이 성폭행" 거짓 신고 女아이돌 집유
☞ 군청색 바지정장 '전투복' 朴대통령…국정연설 중 주먹 불끈
☞ 1살 때 미국 입양된 이미현 "평창에서 친부모 만났으면…"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