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선거구 획정 안되면..총선 연기 주장까지
【 앵커멘트 】
선거가 두 달이 채 남지 않았는데도, 아직 선거구가 정해지지 않은 초유의 사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늦어도 오는 23일 국회 본회의에서 선거구 획정안을 처리해야 한다는 '데드라인'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여야 협상 상황을 보면 처리를 낙관할 수 없어 보입니다.
또 선거구 획정이 불발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이성식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기자 】
이제 총선은 57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각 당은 다음 달 25일까지 총선 후보자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해야 하는데, 그때까지는 불과 38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여야 간 팽팽한 줄다리기로 선거구가 사라진 초유의 불법 상태가 두 달째 이어지고 있는데요.
정치권에선 오는 23일 국회 본회의를 선거구 획정의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날까지 통과되지 않으면 우선 현실적으로 각 당이 경선을 제대로 치를 수 없습니다.
선관위는 선거구 획정 전까지 당내 경선을 할 수 없고, 여론조사를 위한 휴대전화 안심번호도 제공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23일 선거구가 획정돼도 안심번호를 받으려면 20일이 넘게 걸려 3월 중순에야 경선이 가능합니다.
획정이 늦어지면 각 당이 약속한 안심번호를 활용한 경선 자체가 무산될 수 있습니다.
또 법적으로 24일부터 재외선거인 명부를 만들어야 하는데요.
선거구 획정이 안되면 명부 작성이 그만큼 늦어져 해외동포 선거가 큰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국회의장은 23일까지 선거구가 획정되지 않으면 총선을 제때 못 치를 수도 있다며 최악의 경우 선거 연기 가능성까지 시사했습니다.
총선 연기론까지 나오자 여당 안에서도 선거법 처리의 발목을 잡고 있는 노동법개혁안 등 쟁점법안 처리를 뒤로 미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이성식입니다.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속보] 美, 상호관세 부과 대상서 스마트폰·컴퓨터 등도 제외
- 미국 또 비행기 추락사고…플로리다 소형 비행기 떨어져 3명 사망
- ″대피령 해제됐지만, 여전히 불안″…인근 주민 불편 계속
- 벚꽃 즐길 새도 없었다…롤러코스터 타는 4월 주말
- 관저 나온 윤 전 대통령 부부…'10분 거리' 검찰, 이번 달 소환하나
- ″퇴임도 안 했는데″…트럼프 초상화, 백악관 명당에 '등장'
- ″기둥 균열 아닌 파손″…붕괴 예견됐지만 사고 못 막아
- 윤 전 대통령과 '과잠 청년'의 포옹…대통령실 요청이었나?
- 광명 붕괴 현장서 1명 구조…빗속 실종자 수색 계속
- 김문수·나경원 한낮 '햄버거 회동'…단일화도 염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