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획·연재

"南南갈등 없다" 든든한 2030

백상경,서태욱,황순민 기자
입력 : 
2016-02-15 04:01:04
수정 : 
2016-02-15 10:53:14

글자크기 설정

"개성공단 폐쇄 北책임" 80%
"北 도발땐 군사적 대응" 70%
사진설명
2030세대의 안보관은 확고했다.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초래된 개성공단 폐쇄에 대해 2030세대는 이번 사태의 책임이 북한에 있다고 판단했다. 북한의 노림수인 남남갈등은 감지되지 않았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도입에 대해서도 지지 의견이 반대 의견을 크게 앞서 향후 사드 도입을 둘러싼 국내 여론 흐름에 중대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매일경제신문이 12일 리서치 전문회사 '오픈서베이'를 통해 전국 20~30대 5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 4.38%포인트)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0.2%가 개성공단 폐쇄에 대해 북한에 책임이 있다고 규정했다. 북측 책임이 100%라고 답한 비율이 24.4%에 이르렀고, 이어 80~100%(30.0%), 60~80%(25.8%) 등으로 나타났다.

개성공단 전면 폐쇄 후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한 정부 대응 여부에 대해서는 △군사적 대응과 대화를 통한 해결 병행(42.8%) △강경한 군사적 대응(26.4%) △미·중, 유엔 등을 통한 외교 노력(20.4%) △대화를 통한 해결(8.4%) 등으로 나타났다. 대화를 통한 해결 노력을 우선하면서도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한 군사적 대응에 무게를 둔 것이다. 특히 북핵 도발로 가속도가 붙은 한·미 사드 도입 논의에 대해 2030세대의 47.6%가 지지 의견을 표명해 반대(22.8%) 여론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안보 전문가들은 이 같은 2030세대의 강경한 안보 인식에 대해 "북한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 특성상 오히려 객관적 3자의 입장에서 북한의 허와 실을 보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는 "2030세대에서 자신의 나이 또래인 김정은 정권에 대한 거부감이 작용하고 있고, 이념과 친소 관계의 틀이 아닌 객관적 3자로서 북한을 보는 세대 특성도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현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2030세대의 이념은 고전적인 진보와 보수의 스펙트럼으로 구분되지 않는다"며 "경제에서는 성장보다 분배를 중시하면서도 국가의 강력한 안보를 중시한다. 북한 역시 이들에게 하나의 민족 개념보다 '주변국가'에 가까울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지난해 8월 매일경제가 북한 서부전선 포격 도발로 촉발된 한반도 긴장사태의 책임 소재를 묻는 1차 설문조사에서도 2030세대의 82.8%가 "포격 사태에 대한 북한 책임이 크다"며 김정은 정권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내비쳤다.

[백상경 기자 / 서태욱 기자 / 황순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