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폐쇄 北책임" 80%
"北 도발땐 군사적 대응" 70%
"北 도발땐 군사적 대응" 70%
![사진설명](https://pimg.mk.co.kr/meet/neds/2016/02/image_readtop_2016_120236_14554982512357944.jpg)
개성공단 전면 폐쇄 후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한 정부 대응 여부에 대해서는 △군사적 대응과 대화를 통한 해결 병행(42.8%) △강경한 군사적 대응(26.4%) △미·중, 유엔 등을 통한 외교 노력(20.4%) △대화를 통한 해결(8.4%) 등으로 나타났다. 대화를 통한 해결 노력을 우선하면서도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한 군사적 대응에 무게를 둔 것이다. 특히 북핵 도발로 가속도가 붙은 한·미 사드 도입 논의에 대해 2030세대의 47.6%가 지지 의견을 표명해 반대(22.8%) 여론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안보 전문가들은 이 같은 2030세대의 강경한 안보 인식에 대해 "북한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 특성상 오히려 객관적 3자의 입장에서 북한의 허와 실을 보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는 "2030세대에서 자신의 나이 또래인 김정은 정권에 대한 거부감이 작용하고 있고, 이념과 친소 관계의 틀이 아닌 객관적 3자로서 북한을 보는 세대 특성도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현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2030세대의 이념은 고전적인 진보와 보수의 스펙트럼으로 구분되지 않는다"며 "경제에서는 성장보다 분배를 중시하면서도 국가의 강력한 안보를 중시한다. 북한 역시 이들에게 하나의 민족 개념보다 '주변국가'에 가까울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지난해 8월 매일경제가 북한 서부전선 포격 도발로 촉발된 한반도 긴장사태의 책임 소재를 묻는 1차 설문조사에서도 2030세대의 82.8%가 "포격 사태에 대한 북한 책임이 크다"며 김정은 정권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내비쳤다.
[백상경 기자 / 서태욱 기자 / 황순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