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전 대출 절반도 못갚았는데.."
◆ 한반도 긴장 고조 ◆
14일 중소기업진흥공단에 따르면 2013년 개성공단 가동 중단과 관련해 61개 기업이 대출받은 긴급경영안정자금은 총 377억원이었으며 이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금액은 247억원으로 총액의 65.5%에 이른다. 2013년 4월 3일 만들어진 이 긴급자금은 123개 개성공단 가동기업의 모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당 연간 10억원 한도로 2% 금리에 제공됐다. 만기는 1년, 기업 요청에 따라 2년 6개월까지 연장 가능했으며 이후 3년간 분할상환하게 돼 있다.
중진공 측은 "절반 정도 기업은 1년 안에 조기상환했고 나머지 기업들은 만기를 연장해 천천히 갚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입주기업 관계자는 "아직 긴급자금을 상환하지 못한 기업은 주로 3년 전 공단 가동 중단으로 문 닫을 위기에 처했던 소규모 기업들"이라며 "아직 과거의 상처가 채 아물지도 않았는데 더 큰 상처가 생긴 셈"이라고 말했다.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공단 제품을 유통하고자 만들어진 개성공단상회 대리점주들도 영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개성공단상회에 따르면 현재 경기 북한산성점, 서인천점, 경남 진주·창원점, 대전 둔산점 등 전국에서 5개의 대리점이 운영되고 있다. 대리점주는 매장을 열기 위해 초기 투자비로 1억~3억원가량을 투자했으나 대부분 대리점이 지난해 하반기에 문을 열어 실제 영업기간은 6개월도 채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누적 매출은 가장 많은 곳이 8000만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시점에서 제품 공급이 끊긴다면 매장 운영비는 물론, 투자 원금도 못 건지는 셈이다. 경협보험금 등으로 일부 피해라도 보상받을 수 있는 입주기업과 달리 대리점 피해에 대한 보상은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
입주기업에서 시작된 피해가 협력사, 대리점으로까지 확산되자 유일호 경제부총리는 14일 오후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을 위한 민관 합동 간담회'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영섭 중소기업청장 등 경제부처 수장이 모두 참석했으며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 김인호 무역협회장, 강호갑 중견기업연합회장 등 주요 경제단체장도 모였다. 유 부총리는 "개성공단 입주기업과 거래하는 회원사들이 납품기한과 대금지급 기한을 연장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경제단체에 요청했다. 유 부총리는 또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대체생산지를 마련하고 경영을 정상화할 때까지 가급적 거래를 유지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정순우 기자 / 진영태 기자 / 김규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열흘만에 문여는 中증시..패닉이냐 진정이냐
- 이란에 줄잇는 러브콜..伊·佛 먼저 웃은 까닭
- 北, 이동식 ICBM 실전 배치
- G2, 대북 제재 놓고 갈등 노출
- 日 "北, 우라늄 핵무기 개발도 추진"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