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잔액은 바닥인데..공공요금·대출금리는 '고공행진'
[경향신문] ㆍ하수도료·대중교통비 계속 올라
ㆍ두부·달걀 등 식료품값도 ‘꿈틀’
경기는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지만 서민생활과 밀접한 상·하수도료 등 공공요금이나 금융비용, 주류값 등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공공요금 인상으로 1월 소비자물가 중 공공서비스 가격은 2.2% 올랐고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연 3%대로 올라섰다.
올해 초 줄줄이 올랐던 지역별 상하수도 요금은 오는 3월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대전·울산·인천광역시와 경북 김천시 등이 각각 하수도 요금을 최대 33% 상향조정하면서 지난 1월 전국의 하수도료는 1년 전보다 23.4% 올랐다. 울산시는 2018년까지 총 40%를 올린다는 목표 아래 오는 3월에도 하수도 사용료를 14%(t당 63원) 올린다. 부산시도 상수도 요금을 8%, 아산시는 8.7% 인상할 방침이다. 이는 2014년 정부가 각 지자체에 요금 현실화를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교통 관련 각종 요금도 늘어날 조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대로 공영 주차장에 부가가치세 10%가 부과되면 서울시 공영 주차장 요금도 19년 만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부산시는 올해 택시요금을 평균 16.7%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며 울산시도 시내버스 요금을 9.6% 인상할 계획이다. 경북 포항, 구미에서도 시내버스 요금이 오른다.
금융비용도 오르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취급액 기준으로 16개 은행 중 14개 은행의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평균 금리가 연 3%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까지 떨어뜨린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2%대로 떨어졌다 다시 오른 것이다. 손해보험사도 올해 신규 계약분에 대한 실손 보험료를 18∼27% 올렸다.
장바구니 물가도 뛰었다. 하이트진로는 지난해 11월 ‘참이슬’ 등의 출고가를 5.54% 올렸고, 롯데주류도 ‘처음처럼’ 출고가격을 5.54% 인상했다. 두부·달걀·핫도그 등 주요 식품제조업체들은 올해 초 가격을 올렸거나 인상 여부를 검토 중이다.
<조형국 기자 situatio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경원 “드럼통 정치에 굴복 안해”···이재명 겨냥 악의적 풍자 동원
-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숨진 채 발견…살인 혐의 50대 체포
- 홍준표 “2~3시간 해프닝, 탄핵은 좀 과해…한 번 더 기회 줄 수 있지 않았나”
- 비상계엄 당시 ‘상관 지시 거부’한 군 지휘관 “항명죄로 징역형 구형 박정훈 대령 떠올랐다
- ‘연기 30년차’ 박은빈···“우영우 떠나 보내고 새 친구 사귀었죠”
- 이륙 준비 중 승객이 갑자기 비상문을…제주공항서 항공기 결항, 100여명 불편
- “여보, 5분 전 내려준 사람 같은데?” 부부 택시기사, 보이스피싱 수거책 잡았다
- 폭주족의 ‘삼일절 불법 폭주’ 실시간 방송하며 후원금 받은 10대 송치
- 살해 후 시신 지문으로 대출까지…김천 오피스텔 강도살인 양정렬 1심 무기징역
- [단독]‘주 4.5일’ 공약하면서 직원들에겐 법정 노동시간 넘겨 일하라는 국민의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