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제공한 차관 원리금 3조원 넘어..받기 어려울 듯

2016. 2. 13. 15: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00∼2007년 쌀·옥수수 지원..경공업·도로·철도 장비 제공 북한에 상환 요구해도 '묵묵부답'
냉전의 안개 (파주=연합뉴스) 임병식 기자 = 12일 오전 경기도 파주시 통일대교 남단이 안개로 휩싸여 있다. 정부의 개성공단 중단 발표에 따라 전날 북한이 개성공단을 군사통제구역으로 선포하고 남측 인원을 전원 추방하면서 통일대교 교통량은 확연히 줄어든 상태다. 2016.2.12 andphotodo@yna.co.kr

2000∼2007년 쌀·옥수수 지원…경공업·도로·철도 장비 제공

북한에 상환 요구해도 '묵묵부답'

(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북한이 우리 정부에 갚아야 하는 차관 규모가 이자를 포함해 3조원을 훌쩍 넘어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이에 따른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로 남북관계가 급속히 악화하면서 빚을 받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3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식량과 원자재를 제공하는 형태로 9억3천294억달러, 경수로 건설사업에 대출하는 형태로 11억5천만달러 등 총 20억8천294만달러(약 2조5천억원) 규모의 차관을 북한에 제공했다.

정부는 우선 2000년∼2007년 대북 포용정책에 따라 총 6차례에 걸쳐 차관 형태로 쌀 240만t과 옥수수 20만t을 북한에 지원했다.

달러로 환산한 식량 차관 규모는 7억2천5만달러로 10년 거치, 20년 원리금 분할 상환, 연이자 1%의 조건이 붙었다.

정부는 2002∼2005년에는 남북 철도, 도로 연결 사업을 위해 북한에 1억3천289만달러어치의 자재·장비를 10년 거치, 20년 원리금 분할 상환, 연리 1%의 조건으로 빌려줬다.

2007년에는 의복, 신발, 비누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8천만달러어치를 현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경공업 차관을 해줬다.

정부는 이들 차관을 모두 남북협력기금으로 제공했다.

남북협력기금을 운용하는 수출입은행이 북한 조선무역은행에 대출해주는 방식이다.

여기에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를 통해 북한 경수로 건설사업에 대출해준 돈 11억5천만달러도 있다.

이들 차관을 모두 합치면 2조5천억원 규모이며 이자까지 고려하면 3조원이 훌쩍 넘어선다.

그러나 북한이 현실적으로 차관을 갚기는 어려워 보인다.

2008년 초 북한이 경공업 차관의 3%에 해당하는 240만달러를 아연 1천t으로 현물 상환한 적이 있지만 그 이후 남북관계가 크게 악화됐다.

식량 차관의 경우 첫 번째 상환 기일이 2012년 6월 시작됐으나 북한은 계속해서 원리금을 연체했다.

수출입은행은 조선무역은행에 거듭 연체 원리금 상환을 촉구했는데도 묵묵부답이었다.

식량 차관 규모를 고려하면 북한은 2037년까지 거의 매년 원리금을 갚아야 한다.

chopark@yna.co.kr

☞ "6년 결근 아무도 몰라"…월급만 챙긴 스페인 '유령 공무원'
☞ 스타 육상선수 고백…"조울증으로 성매매여성 전락"
☞ 밸런타인데이의 불륜…법원, 2천만원 배상 판결
☞ 캔 용량 줄였더니 수익이 쏠쏠…코카콜라 미니포장의 '마법'
☞ 대구 초등교실서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 틀어 물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