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케리 美국무 "개성공단 중단 지지"..北제제 협의

김효진 기자 2016. 2. 13. 15: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미 긴밀한 공조하며 북한 제외 5자간 공조 강화해야" 윤병세 '끝장 결의' 채택 강조..뮌헨서 제재방안 총점검
윤병세 외교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사진제공=외교부) © News1

(서울=뉴스1) 김효진 기자 =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지난 12일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회담을 갖고, 북한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도발에 대한 안보리 대책 및 실효적 양자 제재 추진 상황을 총점검한 후 향후 대책을 협의했다.

13일 외교부에 따르면 윤 장관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전략적 셈법을 바꿀 수 있을 정도의 예상을 뛰어넘는 강력하고 실효적인 '끝장 결의(terminating resolution)'를 채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케리 장관은 "안보리 의장 성명에서 안보리 결의를 신속히 추진해 나가기로 한 바 있듯 미측으로서도 관련 협의를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또한 한·미 양국이 긴밀한 공조를 계속하면서 북한을 제외한 5자간 공조를 강화하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계속 모색해 나가자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 자리에서 지난 10일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이라는 결단을 내린 배경과 기대 효과도 설명했다.

윤 장관은 이러한 결정이 "미 의회 대북 제재 법안, 일본의 독자 제재 및 유럽연합(EU) 등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 조치와 상호 추동할 수 있도록 긴밀히 공조해 나가자"고 했다.

이에 대해 케리 장관은 "북한에 대해 핵·미사일 개발 포기라는 전략적 결단을 내리는 것만이 살 길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라고 평가한다며 지지 의사를 밝혔다.

또한 한·미 대한방위공약에 기초해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 대해서도 강력히 대처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한편, 윤 장관과 케리 장관은 이달 중 한·미간 고위급 협의 및 3월 워싱턴 핵안보정상회의 등 계기를 적극 활용해 전략적 공조를 지속하기로 했다.

jinhk@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