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 올테면 와봐라"..'지구방위대' 꾸린다

류준영 기자 2016. 2. 13. 03: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이언스 라이프]소행성 충돌 위험도 中 1위, 美 11위, 韓 17위..NASA '지구방위합동본부' 발족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사이언스 라이프]소행성 충돌 위험도 中 1위, 美 11위, 韓 17위…NASA '지구방위합동본부' 발족 ]

소행성 충돌 상상도/사진=KASI

소행성 하나가 또 지구를 향해 날아오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다음달 5일(현지시간) 이 소행성(2013 TX68)이 지구 최근접 거리인 1만 7000km를 지나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2억 5000만분의 1로 낮아 우려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추정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1일, 스포츠 주경기장 두 배 크기의 소행성(2015 TB145)이 지구로 매섭게 돌진해온 탓에 한때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 NASA에 따르면 이 소행성은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1.3배 거리에서 아슬아슬하게 스쳐 지나갔다. 2006년 이후 지구에 가장 가까운 거리였다. 때마침 이날은 '핼러윈 데이'여서 지구에 충돌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지구는 이미 수차례 소행성과 충돌한 적이 있다. 1908년 러시아 시베리아에선 소행성 폭발로 2150㎢의 숲이 불타버렸다. NASA에 따르면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은 약 1400개가 넘는다. 이중 지구와 충돌하면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지름 1㎞ 소행성은 875개나 된다.

만약, 소행성이 태평양 정중앙에 떨어지면 어떻게 될까. 전문가들은 "남산보다 훨씬 높은 해일이 서울을 덮치는 끔찍한 장면이 현실에서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소행성 충돌 위험도 韓 17위=좁은 국토면적(약 10만㎢)이지만 우리나라도 소행성·혜성 충돌에서 안전지대가 아니다.

한국이 지구와 소행성 충돌로 피해를 볼 위험도가 전 세계 206개국에서 17번째로 높다는 연구결과가 곧 공식 발표된다.

영국 사우샘프터대학 피터 앳킨슨 교수팀은 오는 6월 30일 '세계 소행성을 날'에 '세계 소행성 충돌 및 영향 분포'라는 제목의 분석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소행성 1만 3000여개 중 2100년까지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높은 261개를 선정, 자체 개발한 소행성 충돌 위험 프로그램을 가동해 세계 206개국의 소행성 충돌 피해 위험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소행성 충돌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국가는 중국이며, 이어 인도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브라질, 나이지리아, 도미니카공화국, 방글라데시, 일본, 앙골라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17번째로 위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플로리다와 루이지애나 등에 소행성이 직접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됐지만, 전체 위험도에선 11번째였다. 피터 앳킨슨 교수팀은 "선진국들이 소행성을 발견하고 위험을 줄이는 데 앞장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목성 밖 거대 혜성, 예측불허 위협=이런 가운데 최근 소행성보다 지구에 더 큰 위협을 가할 수 있는 거대 혜성(지름 50~100km)들이 목성 밖에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불안감을 더하고 있다.

영국 버킹엄대학과 아마천문대 연구진은 영국왕립천문학회(RAS) 저널에서 최근 20여년간 목성 밖 외태양계에서 ‘센토’라 불리는 거대 혜성 수백개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센토는 목성과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큰 행성들의 공전궤도를 가로지르는 불안정한 궤도를 지나 이동경로 예측이 어렵다. 연구팀은 "센토가 중력장 영향으로 목성 안쪽 내태양계로 밀려나면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3만여년 전 센토 하나가 내태양계로 진입하면서 파괴돼 수많은 잔해들로 분해된 사건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지구밖 불청객 막는 '지구방위대' 설립=소행성 충돌 위험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NASA가 이달 '지구방위합동본부'(PDCO)를 발족했다.

이 기구는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등의 천체를 발견·분석하고, 지구와의 충돌 위험이 나타날 경우, 즉각 정부 및 관계 기관과 대응하는 비상 재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미국 연방정부는 올해 5000만 달러(약 600억원)의 예산을 PDCO에 배정했다.

만약 소행성이 지구로 날아올 경우, 소행성을 파괴하기 보단, 운행 방향을 우회시켜 피해 규모를 줄이는 게 더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 NASA는 오는 2020년 소행성 탐사용 우주선 옵션A와 B를 쏘아 올릴 예정이다.

이중 옵션 A는 지름 10m 이하 소행성을 대형 비닐봉지 안에 포획한 후 지구와 달 사이의 라그랑주 지점에 갖다놓는 임무를 맡게 된다. NASA 측은 "포획한 소행성을 이곳에 보관해 뒀다가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은 거대 소행성이 접근해 올 경우 포획한 소행성을 거대 소행성에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NASA는 지난해 9월, 유럽우주기구(ESA)와 함께 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는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2020년 8월에 첫 시도가 이뤄진다. NASA와 ESA에 따르면 2대의 우주선을 발사한 후 한 대는 지름 170m의 소행성으로 최고 속도를 내 다가가 궤도를 수정할 수 있는 최적 지점에 충돌시키고, 다른 한 대는 그 과정을 촬영해 지구로 전송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韓 '우주감시기술개발' 사업 착수=우리 정부도 범부처 차원의 종합 대응체계로 '우주위험 대책본부'와 '우주위험 대책반'을 마련하고, 소행성 등 자연우주물체, 10㎝급 우주쓰레기 충돌을 감시하는 '우주감시기술개발' 사업을 올해 착수할 예정이다.

12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우주물체 광학 감시체계 기술 개발과 우주환경예보센터, 우주환경감시기관 등의 운영을 위해 R&D(연구·개발) 예산 90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을 총괄하는 한국천문연구원 측은 "국가우주위험 대응시스템의 서브시스템인 우주물체 광학감시시스템으로 우리 위성의 안정적인 운용을 돕고, 우주환경 예·경보 대국민 서비스를 강화해 우주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준영 기자 joon@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