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함께 일해도, 여성 공헌도는 푸대접(연구)
[서울신문 나우뉴스]
남성 동료와 함께 공저논문을 발표한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공로를 온전히 인정받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끈다.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헤더 사슨스는 최근 발표한 논문 ‘협업에 관한 인지에서의 성별 격차’(Gender Difference in Recognition for Group Work)에서 이와 같이 주장했다.
사슨스는 1975~2004년 사이 ‘종신교수 재직권’(tenure) 취득을 시도한 미국 명문대 경제학자 522명을 조사한 결과 이러한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사슨스에 따르면 이 학자들의 전반적인 종신교수 채용 확률은 70% 정도였다. 그런데 이들을 남녀로 구분해 분석하자 분명한 성별 격차(gender gap)가 드러났다. 남성의 채용 확률이 77%였던 반면 여성은 52%에 그쳤던 것.
흥미로운 점은 단독 저술한 논문이 더 많은 여성일수록 남성 학자들과의 채용확률 격차가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모든 논문을 혼자서 집필한 여성 학자들의 경우에는 채용 확률이 남성과 거의 완전히 동일했다.
반대로 모든 논문을 공동저술한 남녀학자들 사이의 채용확률 격차는 여성 40%, 남성 75%으로 크게 벌어졌다. 이 확률은 인물들 각각의 생산성, 지원 대학교, 구체적 지원 분야, 재직권 신청 년도 등의 세세한 변수를 모두 반영시켜 도출한 것이라고 사슨스는 밝혔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 미루어보아, 사슨스는 팀 단위 연구에서 여성 연구원들은 남성들에 비해 연구 기여도를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남성들이 협업에 있어 여성보다 더 많은 일을 수행하기 마련이라고 여기는 일반적 선입견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사슨스는 전했다.
사슨스는 “이러한 차별적 인식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승진 결정에서 성별 간의 커다란 격차를 만들어낼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어 “그러나 이 논문을 통해 내가 주장하는 바는 향후 여성들이 팀 단위 작업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며 “무의식중에 각 인물의 기여도를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사람들 사이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리는 것이 이번 논문의 목표”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논문은 여성연구원인 사슨스가 홀로 저술했다. 논문에서 그는 “이 논문은 의도적으로 단독 저술되었다”(This paper is intensionally solo-authored)고 밝히고 있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미모 女강사가 옷 벗으며 ‘영어 수업’ 방송 논란☞ 20대 女교사, 교실에서 16세 장애 학생과 성관계☞ 정자 기증자 아빠, 생면부지 8명 자식 만나다☞ ‘너무 섹시해’ 해고당한 女은행원, 또 소송 결과는?☞ ‘6년’ 동안 썩지 않은 맥도날드…방부제 때문?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미모 女강사가 옷 벗으며 '영어 수업' 방송 논란
- "영어" 하루 30분으로 미국인 되는 법..놀랍네
- 20대 女교사, 교실에서 16세 장애 학생과 성관계
- 정자 기증자 아빠, 생면부지 8명 자식 만나다
- '너무 섹시해' 해고당한 女은행원, 또 소송 결과는?
- “의원 배지 떨어진 설움” 민경욱 국회왔다 새차 견인당해
- 아파트 방화살인범 안인득, 무기징역 감형 불복 대법원 상고
- 목줄 없이 달려든 개에 놀라 전치 3주…견주 벌금 50만원
- “박사방 22GB 싸요 싸”… 아직도 조주빈은 있다
- “양질의 일자리 부족 가장 큰 원인… 직무능력으로 임금 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