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넋이라도 데려와 밥 한술 먹였으면

입력 2016. 2. 12. 02: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군에 같이 끌려간 소녀 중 나만 살아 돌아왔네..

[서울신문]위안부 할머니 영화 ‘귀향’ 24일 개봉

“이 영화를 찍으며 제일 많이 들었던, 화가 나는 이야기들이 바로 ‘증거가 있느냐’는 것입니다. 증거가 아주 많은데도 그런 말들을 합니다. 살아계신 할머니들의 증언도 증거가 아니라고 합니다. 그럴 때마다 그렇다면 제가 영화로 만들어 문화적 증거를 남기겠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증언을 토대로 만들어진 영화 ‘귀향’이 오는 24일 개봉한다. 각본·연출·제작을 맡은 조정래 감독이 작품을 구상한 지 14년 만이다. 그는 2002년 위안부 피해 할머니 후원시설인 나눔의집 봉사활동을 하다가 강일출 할머니가 미술 심리치료를 받으며 그렸던 그림 ‘태워지는 처녀들’을 보고 충격을 받아 시나리오를 썼다. 그림 속에서는 일본군에 총살당한 수많은 조선의 소녀들이 한 구덩이에서 불타고 있었다. 16세에 중국 목단강 위안소에 끌려갔던 강 할머니가 목도한 장면이다. 강 할머니는 일본군과 광복군의 교전이 일어나며 가까스로 탈출할 수 있었다.

“타향에서 외롭게 세상을 뜬 분들을 영화에서나마 고향으로 모시고 와 따뜻한 밥 한술 올렸으면, 영령으로나마 우리와 함께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화를 한 번 상영할 때마다 한 분씩 돌아온다는 그런 마음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영화 제목의 한자가 ‘歸鄕’이 아닌 ‘鬼鄕’이다. 다큐멘터리 분위기가 강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작품은 무척 ‘영화적’이다. 이야기는 일제강점기 막바지인 1943년과 위안부 피해 접수가 처음 이뤄졌던 1991년을 오간다. 경남 거창의 시골 마을에 사는 열네 살 소녀 정민(강하나)은 어느 날 갑자기 일본군에 끌려간다. 알 수 없는 곳으로 향하던 기차에서 정민은 한 살 위 영희(서미지)를 비롯해 비슷한 처지의 수많은 소녀들을 만난다. 이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성욕에 굶주린 잔혹무도한 일본군. 영화는 백발이 성성한 노인이 된 영희(손숙)가 어린 무녀 은경(최리)을 통해 정민의 영혼과 만나며 뼛속 깊이 사무친 한과 아픔을 치유하는 과정을 동시에 그린다. 은경은 위안부 피해 소녀들의 넋을 모시는 귀향 굿을 펼치며 과거를 현재로 가져온다.

영화는 일본 제국주의의 만행을 장면 하나하나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데 집중하지는 않는다. 자극적일 수 있는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며 영상미를 살린다. 목단강 위안소 실내 전경을 위에서 잡은 짧은 장면 하나에 당시 상황이 지옥도와 같이 집약된다.

작품은 일찍 기획됐지만 투자자들의 외면으로 진행은 더뎠다. 중국 쪽 투자가 성사되는 듯하다가 엎어지기도 했다. 대략적 줄거리와 티저 영상을 온라인에 올린 게 계기가 돼 2014년 말부터 시민들의 기부가 이어졌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미국에서도 후원이 이뤄졌다. 올해 1월 기준으로 모두 7만 5270명이 문자 후원, 자동응답전화(ARS) 후원, 펀딩 등으로 약 12억원을 성원했다. 순제작비의 절반이 넘는다.

지난해 4월부터 2개월간 이뤄진 촬영에도 수많은 배우와 스태프들이 재능 기부 형식으로 참여했다. 문화부 장관을 지낸 손숙을 비롯해 오지혜, 정인기 등 연기파 배우가 동참했다. 일본에서도 영화적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게 일본어가 모국어에 다름없는 재일교포 배우들을 상당수 캐스팅했다. 재일교포 4세인 강하나, 3세인 정무성이 주연을 맡았다.

조 감독은 관객들이 이 영화를 정치적 이슈나, 한·일 간 이슈가 아닌 휴먼 드라마로 봐 줬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단순하게 일본은 나쁘다, 일본 제국주의를 고발한다는 의미로 만들지 않았습니다. 수많은 분들이 끌려갔지만 살아 돌아와 정부에 등록된 숫자는 238명에 불과합니다. 현재는 마흔여섯 분만 생존해 계십니다. 이분들은 물론 모든 영령들이 마음을 푸는 계기가 되는 치유의 영화입니다.” 127분. 15세 이상 관람가.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