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개성공단 전력·가스공급 당장 중단 안 한다"(종합)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개성공단에 대한 전력·가스 공급은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다. 정부는 우리 기업의 철수 일정 등을 고려해 즉각적으로 중단하지 않고 피해 최소화 방안을 마련한 뒤 진행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오후 주형환 장관 주재로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 관련 후속대책을 논의하면서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우태희 2차관은 통화에서 “언제 전기 공급을 중단할지 결정된 바 없고 상주 인원이 있기 때문에 당장 공급을 중단할 순 없다”며 “정부합동대책반에서 협의를 해서 지침이 결정되면 한전에 시달해 무리 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한국전력(015760)공사는 경기도 문산변전소를 거쳐 154㎸ 송전선로를 따라 개성공단 내 평화변전소에 전력을 보내고 있다. 평화변전소의 총 용량은 10만㎾ 수준이며 한전은 평소 3만~4만㎾ 정도를 송전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액화천연가스(LNG)를 연간 300t 가량 공급하고 있다.
우 차관은 향후 일정과 관련해 “물자·인원의 피해 최소화가 큰 원칙이다. 안전하게 철수하고 신속하게 지원한다는 원칙 하에 향후 일정이 나올 것”이라며 “개성공단 기업에 대한 종합대책을 마련해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개성공단에는 184명의 남측 인력이 머무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이른 시일 내에 남측 인력의 철수를 완료할 방침이어서 조만간 전력·가스 공급도 중단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이관섭 1차관을 중심으로 개성공단 기업 지원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발표한 ‘개성공단 전면 중단 관련 정부 성명’을 통해 “우리 정부는 더이상 개성공단 자금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이용되는 것을 막고, 우리 기업들이 희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성공단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날 논평에서 “개성공단에 입주한 124개 기업과 5000여 협력기업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정부의 실질적인 보전대책이 반드시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최훈길 (choigiga@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리보는 이데일리 신문]개성공단, 사실상 폐쇄
- 개성공단 입주기업 피해보상은?
- 정부, 내일부터 개성공단 내 우리국민 철수 작업 본격화
- 개성공단 폐쇄, 北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 개성공단기업協 "정부의 일방적 통보 납득할 수 없다"
- "곧 9만전자 시대 열린다"…트럼프 정부 '원픽' 기대감
- "좋다 말았네"…'쥐꼬리' 공무원 급여 6.8% 올려준다는데
- "다시는 안 가"…여행자들이 뽑은 '불친절한 나라' 압도적 1위는?
- "빅맥세트 2만5000원? 선 넘네" 발길 뚝…결국 백기 들었다
- "꼭 피를 흘려야만 뺑소니냐"…경찰 '분별력'에 "상식 파괴"(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