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중단]입주 업체들 "완제품에, 주문 받은 물량 다 날릴판"
【서울=뉴시스】최선윤 기자 = 정부가 10일 오후 5시 개성공단 전면 중단을 발표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이 충격에 빠졌다. 당장 완제품 처리가 문제다.
개성공단이 전면 중단될 경우 입주기업들은 완제품을 국내로 들여오는 데 까다로운 절차를 거친다. 최악의 경우 완제품을 가지고 오지 못할 수도 있다.
정부는 북한과의 협의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생산한 제품 등을 반입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지만 시일이 얼마나 걸릴 지 여부는 미지수다.
이 때문에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완제품 철수 절차에 대한 정부 측 협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개성공단 섬유기업 대표는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제품 처리가 큰 걱정"이라면서도 "현재 만들어놓은 제품에 대해서는 정리하는 기간을 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체류인원 안전에 대한 얘기는 있지만 제품 철수 절차에 대해서는 아직 들은 바 없다"고 덧붙였다.
개성공단 전자부품 기업 관계자는 "제품 처리에 대해서는 차후 정부와 협의해 결정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직원들에게까지는 아직 세부 사항이 전달되지 않아 정확한 내용을 파악 중에 있다"고 답했다.
개성공단 내의류 생산 기업 관계자는 "전면 중단이 이렇게 빨리 결정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며 "이로인해 그동안 만들어뒀던 제품들을 어떻게 처리할 지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또 다른 개성공단 관계자는 "바이어와 납품을 위한 신뢰문제 해결을 위해 개성공단내 완제품과 원부재재 반출 허용해야 한다"며 "타공장에서 위탁생산 가능토록 정부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성공단은 입주기업의 70%가 IS레포츠와 같은 섬유·봉제업체들이다. 대부분 대기업 브랜드의 옷들을 주문자상표로 부착생산해 납품하는데 의류 상품은 납기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생산이 제때 이뤄지지 못하면 바로 거래 중단으로 이어진다.
통일부는 이날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지원을 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결정으로 큰 어려움을 겪게 될 입주기업들에게 "충분하고 신속한 보상 및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정부는 정부합동대책반을 구성하고 범정부 지원대책 수립 중이다.
한편 개성공단은 2006년 1차 핵실험을 비롯해 천안함 피격사건(2010년 3월), 연평도 포격도발 사건(2010년 11월) 등으로 남북관계가 악화됐을 때도 정상적으로 운영됐다.
하지만 2013년 북한이 3차 핵실험을 했을 때는 북한의 개성공단 폐쇄 발표로 입주 기업들이 1조원이 넘는 피해를 봤다. 현재 비케이전자, 재영솔루텍 등 국내 중소기업 124개 업체가 입주해있다.
csy625@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