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 한국선 화장품만 사는데..일본선 온천 즐기고 씀씀이도 화끈

황형규,손일선,이새봄 2016. 2. 10. 18: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백화점 춘제 매출 성장세 '뚝'..日 재방문 유커 급증, 체험형 쇼핑에 매료

◆ 韓·日 춘제 유커 르포 ◆

지난 9일 낮 일본 도쿄 긴자에 위치한 유니클로 매장에서 많은 중국인 관광객이 쇼핑을 마치고 나오고 있다. [도쿄 = 황형규 특파원]
#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 연휴 기간인 지난 9일. 일본 도쿄 최대쇼핑가 긴자 주오도리(중앙로)는 마치 중국 상하이나 베이징 도심 한복판에 온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중국인 관광객이 넘쳐났다. 관광객들을 위해 차 진입을 막은 4차선 대로 한복판에 위치한 유니클로 매장에서 만난 장예량 씨(39)는 양손에 유니클로 쇼핑백 3개를 들고 "중국 매장보다 훨씬 제품이 다양하고 진짜 유니클로 제품을 사는 듯한 기분이 들어서 약 20벌 정도 옷을 구입했다"고 했다.

전자상가로 유명한 일본 도쿄 아키하바라에 위치한 라옥스 면세점도 입구부터 중국인 관광객으로 북적였다. 중국 광저우에서 왔다는 한 남성은 "중국의 공기 오염이 심해 '메이드 인 재팬' 공기청정기를 사려고 둘러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면세점이 춘제 연휴를 맞아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 [서울 = 김호영 기자]
# 지난 10일 서울 명동 거리는 설을 맞아 고향으로 떠난 한국인들 대신 중국인 관광객이 가득 채우고 있었다. 하지만 명동 상인들이 애타게 기다렸던 '춘제 특수'는 예전 같지 않은 분위기다. 수년째 명동 화장품 매장에서 중국인 고객을 상대하고 있는 천롄화 씨(가명·28)는 "중국 경기가 좋지 않아서 그런지 과거에 비해 중국인 관광객들 씀씀이가 줄어든 것 같다"고 했다. 중국인 관광객의 필수코스인 면세점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서울 소공동 롯데면세점 설화수 매장에는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 수십여 명이 화장품을 구매하기 위해 줄을 서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대박'과는 거리감이 있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일본·대만 등의 쇼핑환경이 좋아져서 유커들이 분산된 경향도 있고 새로 문을 연 신규 면세점 영향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과 일본이 유커 유치를 위한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과거 압도적으로 많은 유커를 유치했던 한국이지만 지난해 기준으로 양국 간 중국인 관광객 수 차이는 100만명 이내(2015년 기준 한국 598만명, 일본 499만명)로 줄어 이번 춘제는 올해 전투의 승패를 가늠할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매일경제가 지난 9·10일 한·일 양국 현장을 취재해 본 결과 한국은 곳곳에서 유커 모시기에 적신호가 감지됐다. '일본의 맹추격'과 '정체된 한국'으로 요약되는 이번 춘제 기간 유커 모시기 경쟁에서 질적으로는 이미 한국이 판정패를 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이번 춘제 연휴 기간(2월 5~9일) 롯데백화점 본점 기준 유커 매출은 은련카드 기준 전년 동기 대비 45% 신장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춘제 연휴 기간(2월 13~21일) 신장률이 74.9% 급증했던 것과 비교해 성장세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같은 기간 현대·신세계백화점이 각각 53.4%, 80.8% 신장한 것에 비해 떨어지는 수치다. 현대·신세계백화점 역시 몇 년 전까지 수년간 평균 100% 이상의 신장률을 보였던 것에 비하면 다소 주춤한 것이지만 특히 롯데백화점의 신장률이 급감한 데는 단체관광객 감소가 한몫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일본 도쿄를 찾은 한 중국인 관광객은 일본에서 어떤 품목을 구입할 계획이냐는 질문에 화장품, 명품백은 물론 약제품, 비데, 카메라 등 다양한 제품을 언급했다. 그는 "일본으로 여행을 간다고 했더니 주변에서 감기약, 파스에서부터 비데, 공기청정기까지 다양한 쇼핑 목록을 추천해 줬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은 일본과 달리 일부 품목에 크게 의존하는 상태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한국 시내면세점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을 만큼 화려한 시설을 갖췄지만 여전히 화장품과 일부 패션 상품에만 의존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실제로 춘제 기간 롯데면세점 본점 화장품 코너는 꾸준히 중국인 관광객들이 몰렸지만 토산품 매장 등 다른 곳에는 한산한 기운이 느껴졌다.

양국을 찾은 유커들 씀씀이도 차이가 나고 있다. 중국 상하이 지역 5대 관광사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일본에서 평균 200만원(쇼핑객단가)을 쓰는 유커들이 한국에서는 그보다 적은 130만원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한국 객단가(구매액)는 감소 추세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지난해 롯데면세점 소공동 본점을 찾은 유커 1인당 객단가는 약 56만원으로 2014년(65만원)보다 14%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만의 장점이던 시내면세점 효과도 희석되고 있다. 일본이 한국을 벤치마킹해 시내면세점 사업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쇼핑 이외의 부분으로 눈을 돌리면 양국 간 격차는 더 커진다. 쇼핑만이 사실상 유일한 먹거리인 한국과 달리 일본은 쇼핑 이외에도 온천 등 유커들의 관심을 끌 만한 다양한 매력 포인트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바쿠가이(폭탄 쇼핑)'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냈던 중국인 관광객들은 올해 들어서는 방일 관광 패턴이 물건만 사는 단순 쇼핑에서 서비스와 문화를 체험하는 소비로 바뀌고 있다.

방일객 절반 이상이 첫 방문에 매료돼 두 번 이상 방문한 일명 '리피타(재방문객)'다 보니 쇼핑을 넘어 체험형 소비를 점점 선호하는 현상이 이번 춘제에도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방일객 중 60%가 두 번 이상 방문이었고, 첫 방문은 40%에 불과했다. 10번 이상 방문한 관광객도 14%에 달했다. 중국인 관광객을 놓치면 한국 관광산업은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략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도쿄 = 황형규 특파원 / 서울 = 손일선 기자 / 이새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