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라고 부를지'..명절마다 헷갈리는 친척 호칭

노은지 2016. 2. 7. 20: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20]

[앵커]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친척을 뭐라고 불러야 할지 몰라 민망했던 경험 한 번씩 있으실 것입니다.

어렵고 복잡한 호칭, 미리 알고 가는 것은 어떨까요.

정빛나 기자입니다.

[기자]

오랜만에 친척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명절.

반가운 만큼 난감한 순간도 종종 찾아옵니다.

일 년에 한두 번 볼까 말까 한집안 어르신을 뭐라고 불러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친척 호칭을 잘 모른다고 대답했습니다.

가장 헷갈리는 호칭으로는 시누이의 남편과 처남의 아내, 조카의 남편처럼 결혼 이후 새로 생긴 친척과 '당'자로 시작하는 모든 친척의 호칭이 꼽혔습니다.

며느리가 시댁에 인사 갈 경우 시누이의 남편은 아주버님, 남편 형의 아내는 형님이라고 부르면 됩니다.

남편의 손아래 형제 중 결혼한 형제는 서방님, 미혼인 경우에는 도련님이라고 불러야 합니다.

처가댁에 간 사위는 아내의 오빠와 그 배우자를 형님과 아주머니, 언니 부부는 처형과 형님이라고 부릅니다.

처남의 아내는 처남댁, 처제의 남편은 동서입니다.

이 밖에도 남자와 여자 기준으로 형제자매의 배우자를 부르는 호칭도 다른 만큼 제대로 알고 써야 어색함도 줄일 수 있습니다.

매번 헷갈린다면 가족 간 호칭을 검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연합뉴스TV 정빛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