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미사일 발사> '김정일의 입' 리춘히 또 등장

2016. 2. 7. 15: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핵실험 이어 '위성 발사 성공' 발표..중대사 발표 단골 아나운서
북한, "광명성 4호 궤도 진입 완전 성공" 보도 (서울=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TV가 7일 오후 12시 30분(평양시간 정오) 특별 중대보도를 통해 광명성 4호가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고 발표했다. 북한의 간판 아나운서인 리춘히가 발사 성공과 관련한 국가우주개발국 보도를 발표하고 있다. 2016.2.7 nkphoto@yna.co.kr

핵실험 이어 '위성 발사 성공' 발표…중대사 발표 단골 아나운서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북한의 리춘희 아나운서(73)가 장거리 로켓(미사일)이 발사된 지 3시간 만인 7일 정오(평양시각) 다시 마이크 앞에 앉았다.

분홍색 저고리와 검은색 치마 차림의 리춘히는 핵실험 이후 한 달여 만에 실시된 '특별 중대보도'를 통해 "지구 관측위성 광명성 4호를 자기의 궤도에 정확히 진입시켰다"며 장거리 미사일의 '발사 성공' 사실을 전 세계에 알렸다.

이로써 리춘히는 김정일에 이어 김정은 체제 들어서도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모든 중대사가 자신의 입을 통해 전달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

리춘히는 이날 특유의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태양조선 최대의 민족명절인 광명성 절이 하루하루 다가오는 2월의 맑고 푸른 봄 하늘가에 새겨진 주체 위성의 황홀한 비행운"이라며 미사일 발사를 추켜세웠다.

리춘히는 현재 북한의 방송정책을 총괄하는 조선중앙방송위원회 산하 조선중앙TV의 부처장으로 근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리춘히는 새해 벽두인 지난달 1일 자정에 중앙TV에 출연해 "조국 땅에 희망찬 새해가 왔습니다"라며 새해 인사를 올렸고, 지난달 4일에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올해 첫 군부대 행사인 포 사격 시찰을 직접 보도했다.

특히 북한이 '수소탄 시험'을 감행한 지난달 6일 정오에는 분홍색 저고리와 검은색 치마 차림으로 '특별 중대보도'를 진행하면서 특유의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주체 조선의 첫 수소탄 시험 완전 성공"이라고 발표했다.

일부 언론은 리춘히가 김정은 체제 들어 아나운서 활동을 중단했다고 잘못 보도했으나 고령에도 여전히 건재를 과시하고 있다.

이처럼 중대 고비마다 리춘히가 등장하는 이유는 누구도 따라갈 수 없는 음성 톤을 지니고 있는데다 신뢰감을 심어주는 인상이 돋보이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리춘히는 과거에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사망 소식은 물론 2006년 이후 세 차례 핵실험 등 북한의 중대뉴스를 도맡아 국제사회에 잘 알려진 인물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리춘히의 방송 스타일을 특별히 선호한 탓에 '김정일의 입'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소식을 혼자서 전담하다시피 했다.

중국인의 호감을 산 리춘히는 수년 전 중국 국영 CCTV의 설 특집방송에 출연해 앵커의 자질 등에 대해 설명했을 정도로 유명세를 누렸다.

1943년 강원도 통천에서 태어난 리춘히는 평양연극영화대학을 졸업하고 1966년 국립연극단에서 배우에 입문했다가 5년 만에 배우의 길을 접고 1971년 2월부터 44년째 조선중앙방송위원회 방송원(아나운서)으로 활동하고 있다.

'관록 있는 방송원'으로 자리 잡은 리춘히는 김일성상과 김정일표창 등 북한의 주요 상을 휩쓸다시피 했고, 북한 아나운서의 최고영예인 '인민방송원'과 '노력 영웅' 칭호를 얻었다. 남편과 사이에 2남을 둔 것으로 전해졌다.

khmoon@yna.co.kr

☞ 한미, 주한미군 사드 배치 공식 협의 시작
☞ 北로켓 기술, 남한보다 2~4년 앞서
☞ 北 위성체 궤도 진입…美본토 타격능력 과시
☞ "병사들의 따뜻한 누나"…최전방부대 여군 군종장교
☞ 죽을 줄 알았던 환자가 설 명절에 사과들고 나타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