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플러스] 문고리·공기로도 감염, 노로바이러스 곳곳 잠복

정진욱 2016. 2. 5. 20: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노로바이러스는 체내에 입자가 단 10개만 들어와도 병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이렇게 감염력이 강하다 보니 공기 같은, 음식 외 경로로 전파되기도 한다는데요.

정진욱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노로바이러스가 든 액체를 실제 환자처럼 토하는 로봇입니다.

로봇이 뿜은 토사물을 닦기만 했는데, 형광색 노로바이러스가 실험자의 코와 입술까지 묻어있습니다.

공기 속에서 노로바이러스가 환자 앞 최대 3m까지 이동 가능하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한 겁니다.

이런 밀폐된 공간 속 공기 중 바이러스가 실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을까.

또 다른 연구진 실험결과 한 번 구토로 공기 속에 퍼진 바이러스 입자는 40에서 1만 개.

식중독을 옮길 수 있는 양의 최소 4배가 넘었습니다.

우리 보건당국 실험결과 실내에서 생존력도 끈질깁니다.

도마나 행주·식칼에 묻은 바이러스는 1주일 이상, 불특정 다수가 접촉하는 문고리에선 열흘 이상 살아남았습니다.

이렇게 독한 노로바이러스는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에겐 더 치명적입니다.

[변현우 교수/한림대한강성심병원]
"취약 계층에서는 구토나 설사로 인한 수분 손실이 더 많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선 음식은 85도 이상에서 1분 넘게 가열하고 채소나 과일은 수돗물에 2분 정도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씻어야 합니다.

또 무엇보다 손을 자주 씻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MBC뉴스 정진욱입니다.

(정진욱)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