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 공작기계 매각 '경로 수정'
1일 두산인프라코어는 "공작기계 매각과 관련해 MBK파트너스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기로 합의하고 배타적 협상권을 부여했다"며 "앞으로 MBK파트너스와 본계약 체결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공시했다.
두산 측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신속하게 실탄을 채워야 한다고 본 것. 이에 따라 매각 작업에는 속도가 붙을 전망이지만 당초 두산 측이 매각 대금으로 받기로 한 돈은 1000억~1800억원가량 줄어들 것으로 분석된다.
MBK파트너스는 이달 말까지 한 달간 배타적 협상권을 부여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MBK 측은 충분한 실사과정을 거쳐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당초 지난해 12월 SC PE를 우선협상자로 선정했다. SC PE는 본입찰에서 MBK파트너스가 제시한 금액(1조1800억원)보다 많은 1조3600억원을 써냈지만 자금 여력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SC PE는 운용자산 규모가 190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사모펀드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를 공동 인수자로 끌어들였다. 하지만 SC PE는 인수 주도권 등을 놓고 두산과 신경전을 벌이는 등 한 달이 넘도록 자금계획을 마무리 짓지 못했고 우선협상 자격마저 박탈당했다.
매각가는 본입찰 당시 MBK파트너스가 제시한 1조1800억원보단 높지만 SC PE가 제시한 1조3600억원보단 낮아질 전망이다. 투자은행(IB) 관계자는 "협상과정에서 MBK파트너스는 처음에 제시한 가격보단 인수가를 높일 가능성이 크지만 인상 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라며 "이미 칼자루가 MBK파트너스 측으로 넘어온 상황이어서 애초 두산인프라코어 측의 기대 수준인 1조5000억원 에는 못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한 두산인프라코어에서는 이에 대해 선택의 여지가 작을 것이란 해석이 많다. 이날 두산 관계자는 "매각 금액의 높고 낮음이 아니라 매각 대금을 제때에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였다"고 말했다.
IB 관계자도 "두산인프라코어가 SC PE에 비해 자금 여력이 좋다고 판단한 MBK파트너스를 새로운 우선협상자로 선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작기계 부문 연매출은 1조3240억원(2014년 기준)으로 두산인프라코어 매출 비중의 18%를 차지한다. 회사가 어려운 중에도 꾸준히 10%대 영업이익을 올려 알짜 사업부로 평가받는다. 두산 측은 공작기계 매각 대금을 재무구조 개선에 집중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두산그룹 고위 관계자는 "올해 최대 목표는 두산인프라코어(분기 순이익)의 흑자 전환"이라며 "매각 건을 꼭 성사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MBK파트너스는 거래 금액 중 7300억원은 인수금융(선순위 6000억원, 중순위 1300억원) 등으로 조달하고 나머지는 2013년 결성한 3호 펀드에서 확보할 계획이다. MBK파트너스 3호 펀드는 결성액만 약 3조원에 달하는 대형 펀드로 지난해 마무리된 홈플러스 인수 정도에만 투자해 자금 여력이 넉넉하다.
[강두순 기자 / 한우람 기자 /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찬반투표 연장..딜레마 빠진 대한항공 조종사 노조?
- 30대그룹 설 대비 납품대금 5조7천여억원 앞당겨 지급
- 수주가뭄 해소 팔 걷은 현대로템..신성장 발굴 나선다
- 두산인프라코어 공작기계 매각 '경로 수정'..대금 줄듯
- 떡국 육수는 고기 대신 해산물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