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태평양 산호초지대 '오키노토리시마'에 거점 재건축 추진

2016. 2. 1. 13: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 '섬' 규정 vs 중국 '바위' 주장
2005년 4월 콘크리트를 덧씌우기 공사를 끝낸 오키노토리시마 모습(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1988년 8월 콘크리트를 덧씌우는 도중인 오키노토리시마의 모습.(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오키노토리시마의 위치(가운데 붉은 점 표시 부분, 구글지도 캡처)

일본 정부 '섬' 규정 vs 중국 '바위' 주장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 정부가 본토에서 1천㎞ 넘게 떨어진 태평양 산호초 지대에 거점 구조물을 새로 지을 것으로 알려져 중국 등과 갈등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1일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은 북태평양에 있는 '오키노토리시마'(沖ノ鳥島)에 설치한 감시·기상관측용 시설의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다.

오키노토리시마는 도쿄에서 남서쪽으로 약 1천700㎞, 오사카에서 약 1천600㎞ 떨어져 있고, 산호초와 바위 등으로 구성됐으며 만조 시에는 대부분 물에 잠긴다.

물에 잠기지 않은 부분의 면적 합계는 10㎡가 채 못된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오키노토리시마를 섬으로 규정하고 있다.

1987년부터 주위를 콘크리트로 덮는 공사를 벌였고 1991년에 현지에 가로 20m, 세로 80m 크기의 받침대를 세우고 그 위에 감시·관측용 건물을 세웠다.

국토교통성은 태풍이나 풍파의 영향으로 이 거점 시설이 낡아 붕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고 새로운 설계 검토를 시작했다.

국토교통성은 총 공사비 약 130억 엔(약 1천291억원)을 들여 2020년까지 새 시설을 완성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주변에서 중국 선박이 활동하는 것 등을 염두에 두고 일대의 관리 체제 강화를 목표로 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 주장대로 오키노토리시마를 섬으로 인정하면 이에 따른 배타적 경제수역이 일본 영토보다 넓은 약 40만㎢에 달하게 된다.

하지만, 중국 측은 오키노토리시마가 섬이 아니라 바위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제법상 섬이 아닌 바위 주변에 대해 배타적 경제수역을 주장할 수는 없다.

오키노토리시마는 중국이 태평양으로 나가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다.

중국은 이곳이 일본의 군사적 거점이 될 것을 우려하고 있으며 시설물 재건축 추진을 계기로 일대를 둘러싼 양국의 갈등이 고조할 가능성이 있다.

sewonlee@yna.co.kr

☞ '가출팸 만든다' 속여 성관계…강제성 없어도 처벌
☞ 대전역 동광장서 50대 남성 불에 타 숨져…경찰 수사
☞ '빅데이터'로 아파트 관리비·입찰 부조리 잡는다
☞ 예비신랑이 前여친한테 빌린 돈 대신 갚아줬더니 재결합
☞ "새차 임직원 할인가에 팔게" 50명한테 17억원 '먹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