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찬바람 부니 경매 열기도 주춤

2016. 1. 29. 22: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11~12월 연속 하락
2월 가계 부채 관리 강화되면 더 냉각될 듯

아파트 단지들이 빽빽히 들어서 있는 서울. 한겨레 자료 사진

최근 주택 시장에 찬바람이 불면서 지난해 뜨겁게 달아올랐던 경매 열기도 새해 들어 한 풀 꺾이고 있다. 다음달부터 원리금 분할상환을 뼈대로 한 가계 부채 관리 방안이 시행되면 주택 거래가 줄어들면서 가격도 약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법원경매 전문회사 지지옥션 자료를 보면, 이달 28일 현재 전국의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 가격 비율)은 88.2%로 지난해 11월(93.3%) 이후 두달 연속 하락했다. 가계 부채 관리 방안 시행, 금리 인상 가능성, 공급 과잉 논란 등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주택 거래 시장의 매수세가 위축되고 가격이 약세로 돌아서면서 경매 시장에서도 고가 낙찰이 줄어든 것이다.

특히 지방 아파트 낙찰가율 하락세가 가파르다. 이달 현재 낙찰가율은 81.9%로 지난달(88.2%)에 비해 6.3%포인트 떨어졌다. 최근 대구광역시 등 지방의 아파트 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곳이 늘어나면서 경매 낙찰 가격도 낮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 아파트의 낙찰가율이 지난해 12월(90.6%)보다 1.1%포인트 떨어진 89.5%를 기록하며 지난해 1월(88.4%) 이후 처음으로 90%대가 무너졌다. 이와 달리 서울은 28일 현재 낙찰가율이 99%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창동 지지옥션 연구위원은 “서울은 아파트 값이 아직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어 낙찰가율이 떨어지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2월 가계 부채 관리 방안 시행으로 주택 시장이 얼어붙는다면 경매 시장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바다의 거인’ 향유고래 의문의 떼죽음…도대체 왜?
‘이태원 살인사건’...패터슨이 진범 ‘징역 20년’...그 전모 다시보기
'위안부’ 할머니 아픔 다룬 ‘귀향’…“예고편만 봐도 눈물 난다”
[화보] 어마어마한 크기 지구 생물체들...키 2m 젖소, 말만한 개, 10명이 든 보아뱀 등...
[화보]`응팔' 이 기억하는 추억의 만화영화...은하철도 999, 날아라 슈퍼보드, 독수리 5형제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 | [인기화보][인기만화][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