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이동통신 사업자 탄생 또 물 건너가(종합2보)

2016. 1. 29. 16: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관심을 모았던 제4이동통신 사업자 출범이 결국 또 무산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기간통신사업 허가를 신청한 퀀텀모바일·세종모바일·K모바일 등 3개 법인의 사업계획서를 심사한 결과 3사 모두 허가적격 기준(70점)에 미달해 기간통신사업 허가대상법인을 선정하지 않았다고 29일 밝혔다.

사업자별 심사 결과를 보면 퀀텀모바일의 경우 장비 조달을 위한 협력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 능력에 대해 구체적인 준비 사항을 제시하지 못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4이동통신 사업자 출범 또 무산 (과천=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조규조 미래부 통신정책국장이 29일 오후 과천 정부과천청사 기자실에서 기간통신사업 허가를 신청한 퀀텀모바일·세종모바일·K모바일 등 3개 법인의 사업계획서를 심사한 결과 3사 모두 허가적격 기준(70점)에 미달해 기간통신사업 허가대상법인을 선정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seephoto@yna.co.kr
제4이동통신 사업자 출범 또 무산 (과천=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조규조 미래부 통신정책국장이 29일 오후 과천 정부과천청사 기자실에서 기간통신사업 허가를 신청한 퀀텀모바일·세종모바일·K모바일 등 3개 법인의 사업계획서를 심사한 결과 3사 모두 허가적격 기준(70점)에 미달해 기간통신사업 허가대상법인을 선정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see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윤보람 기자 = 관심을 모았던 제4이동통신 사업자 출범이 결국 또 무산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기간통신사업 허가를 신청한 퀀텀모바일·세종모바일·K모바일 등 3개 법인의 사업계획서를 심사한 결과 3사 모두 허가적격 기준(70점)에 미달해 기간통신사업 허가대상법인을 선정하지 않았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라 2010년 이후 7차례에 걸쳐 추진됐던 제4이통 사업자 배출은 또다시 물거품이 됐다.

미래부는 법률·경영·경제·회계·기술 분야 전문가 16명으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24∼29일 사업계획서 심사를 벌였다.

또 허가신청 법인의 대표자와 지분율 3% 이상 구성주주를 대상으로 청문도 실시했다.

심사를 통과하려면 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사업계획서 심사 항목별로 60점 이상, 총점은 70점 이상이 나와야 했지만 심사 결과 퀀텀모바일은 총점 65.95점, 세종모바일은 61.99점, K모바일은 59.64점에 그쳤다.

심사위원회는 탈락의 주요 요인으로 ▲ 3개 신청법인 모두 전반적으로 자금조달 계획의 신뢰성 및 실현 가능성이 부족하고 ▲ 망 구축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가 미흡한 점을 꼽았다고 미래부는 전했다.

사업자별 심사 결과를 보면 퀀텀모바일의 경우 장비 조달을 위한 협력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 능력에 대해 구체적인 준비 사항을 제시하지 못했다.

또 재정적 능력에선 청문심사 과정에서 일부 주요 주주의 출자금이 허가 신청 때 내용과 상당 부분 다른 것으로 확인돼 자금조달 계획이 불확실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세종모바일은 통신서비스 제공에 대한 전문성은 인정받았지만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고, 주요 주주의 재무상황 등을 고려할 때 자금조달 계획의 실현 가능성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K모바일은 설립 자본의 원천인 해외자본의 조달 계획이 불확실하고, 소유구조가 불투명해 안정적인 경영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돼 매우 낮은 평가를 받았다.

결국 세 곳 모두 재무적 능력과 안정적 서비스 제공 역량에서 심사의 문턱을 넘지 못한 셈이다.

제4 이통사업자 출범 무산에 따라 상반기 중 이들 몫으로 할당될 예정이었던 주파수(40㎒ 폭)는 공급되지 않을 전망이다.

그동안 주파수 우선할당, 망 미구축 지역 로밍 제공 등의 '당근'을 제시하며 진입장벽을 완화하는 등 의욕적으로 제4이통사업자 선정을 추진해온 미래부는 아쉽다는 입장을 밝혔다.

제4이통 사업자 재추진 여부와 관련해 미래부 관계자는 "통신시장 경쟁 환경, 시장 전망 등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거쳐 상반기 중 신규 통신사업자 허가정책 방향을 재정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isyphe@yna.co.kr, bryoon@yna.co.kr

☞ "5만원 잠시만…" 편의점 종업원 속여 3달만에 2천만원 꿀꺽
☞ 도둑 때려 뇌사…"집주인 정당방위 아니다"
☞ 양주 마시고 "돈 없어" 배짱부리다 벌금 폭탄
☞ 이혼한 아내 집에 침입해 유리창 깨고 시너 세례
☞ 트럭 밑 60대 여성 끌려가다가 뒷차에 치여 숨져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