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로 인터넷 쓰는 장년층 ↑..50대 이용률 60%→73%

2016. 1. 29. 1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언론진흥재단 조사..60대 이상도 17.3%→23.6%로 늘어

언론진흥재단 조사…60대 이상도 17.3%→23.6%로 늘어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50대 이상 연령층에서도 모바일로 뉴스를 보거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인터넷을 이용하는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이 지난해 6∼8월 전국 19세 이상 5천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9일 발표한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지난 1주일간 미디어 이용률'은 TV 94.1%, 모바일 인터넷 73.5%, SNS 53.5%, 고정형 인터넷 49.2%, 종이신문 25.4%, 라디오 16.6%, 잡지 5.0% 등 순으로 집계됐다.

2014년 같은 조사때 미디어 이용률이 TV 94.4%, 모바일 인터넷 69.5%, 고정형 인터넷 57.8%, SNS 49.9%, 종이신문 30.7%, 라디오 23.4%, 잡지 5.3%였던 것과 비교하면 TV와 신문, 라디오, 잡지 등 전통미디어 이용률은 줄어든 반면 모바일 인터넷과 SNS 등 뉴미디어 사용 비율은 늘었다.

특히 이 기간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을 연령대 별로 보면 20대는 97.6%에서 97.4%, 30대는 95.8%에서 94.9%로 줄어든 반면 50대는 59.9%에서 73.1%로 13.2%포인트나 급증해 증가폭이 가장 컸다.

60대 이상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도 17.3%에서 23.6%로 처음으로 20%대를 돌파했으며, 40대도 84.8%에서 88.6%로 소폭 증가했다.

미디어별 뉴스 이용률을 보면 최근 5년 사이 TV는 95.3%에서 86.8%, 고정형 인터넷은 51.5%에서 39.8%, 종이신문은 44.6%에서 25.4%, 라디오는 26.8%에서 9.5%로 줄어든 반면 모바일 인터넷은 19.5%에서 3배 이상인 65.4%로 급증했다.

연령대별 모바일 뉴스 이용률도 2014년 20대 88.0%, 30대 86.5%, 40대 72.6%, 50대 46.0%, 60대 이상 12.4%에서 지난해 20대 89.7%, 30대 88.6%, 40대 77.9%, 50대 61.3%, 60대 이상 19.3%로 50대 이상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종이신문 열독률은 2014년 30.7%에서 지난해 25.4%로 하락한 가운데 온라인을 합산한 '결합열독률'은 78.0%에서 79.5%로 소폭 상승했다.

SNS로 뉴스를 이용한 사람 2명 중 1명은 카카오톡으로 봤고, 27.0%는 페이스북을 썼다.

포털 뉴스 이용자는 네이버(58.6%), 다음(29.3%), 네이트(9.4%), 구글(4.8%) 등의 순이었다.

보고서 전문은 재단 홈페이지(www.kpf.or.kr) 자료실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aupfe@yna.co.kr

☞ "5만원 잠시만…" 편의점 종업원 속여 3달만에 2천만원 꿀꺽
☞ 양주 마시고 "돈 없어" 배짱부리다 벌금 폭탄
☞ 도둑 때려 뇌사…집주인 정당방위 아냐 '유죄'
☞ "위안부가 돈 많이 받는 매춘부라고?"…반크, 뿔났다
☞ 이혼한 아내 집에 침입해 유리창 깨고 시너 세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