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우주] 지구의 물, 달 아닌 소행성으로부터 왔다

2016. 1. 29. 11: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인류의 생명줄과 다름없는 지구의 물줄기가 본래부터 지구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다른 행성으로부터 옮겨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달의 탄생과 관련한 이론 중 하나는 45억년 전 지구가 화성만한 크기의 ‘테이아’(Theia)라는 소행성과 충돌한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지구의 물과 관련해서는 원시 태양계의 대충돌 시기, 지구와 달이 생성됐을 때 지구가 달로부터 물을 포함한 휘발성 물질들을 가로챘을 가능성이 많다는 학설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연구진은 지구의 물은 달이 아닌 테이아로부터 온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테이아와 지구가 충돌할 당시, 테이아에 존재하던 물과 관련한 동위원소가 지구로 옮겨져 왔다는 것.

특히 이번 가설은 달이 테아이로부터 떨어져 나온 충돌의 흔적이 아니라, 테이아와 지구가 ‘혼합’된 형태의 행성이라는 내용도 담고 있어 더욱 눈길을 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이론을 입증하기 위해 과거 아폴로 12, 아폴로 15, 아폴로 17이 달 미션 중 지구로 가지고 온 달의 운석을 정밀 분석했다. 총 7개의 운석과 지구의 바위에서 발견되는 산소 동위원소를 비교한 결과 두 행성에서 일치하는 산소 동위원소를 찾아냈다.

일반적으로 지구를 포함한 각각의 우주 행성은 각기 다른 동위원소를 가지고 있다. 행성의 형성 과정이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달과 지구는 매우 유사한 동위원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됨에 따라 테이아와의 충돌설이 더욱 힘을 얻게 됐다.

또 지구의 물이 달로부터 온 것이 아닌, 테이아와의 충돌 과정에서 테이아로부터 전해진 것이라는 사실도 유추해 낼 수 있다.

에드워드 영 캘리포니아대학 지질학과 교수는 “달과 지구가 테이아를 구성하는 원소와 매우 동일한 원소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됐다”면서 “‘델타-17’(delta-17)이라고 부르는 산소 동위원소가 달과 지구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됐으며, 이는 테이아와 지구가 충돌할 당시 서로가 가진 동위원소를 맞교환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것은 오늘날의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모든 생명체의 존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물을 만들어 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저널인 ‘사이언스’ 최신호에 실렸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허세 끝판왕’ 사우디 부자들 사치 백태☞ 미모의 유치원 교사 ‘성매매 알바’ 영상 유출 파문☞ 공공연한 매춘? 고도의 상술? 중국 미녀 여대생☞ 청사에서 알몸으로 사랑 나눈 공무원…CCTV 포착☞ 20대 女교사, 교실에서 16세 장애 학생과 성관계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