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지상파, VOD협상 결렬 "공급 재중단 우려"(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케이블TV와 지상파 간 주문형비디오(VOD) 공급 재계약 협상이 결렬됐다.
지상파는 협상 타결이 없으면 예정대로 VOD 공급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이며 케이블업계도 VOD 공급거절 시 즉각 지상파 채널 광고중단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김정수 케이블TV방송협회 사무총장은 "오늘 협상에서는 서로의 입장이 다르다는 것만 확인했다"며 "기일까지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으면 지상파 VOD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안하늘 기자] 케이블TV와 지상파 간 주문형비디오(VOD) 공급 재계약 협상이 결렬됐다.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어 케이블TV에 지상파 VOD공급이 다시 중단되는 사태가 우려된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 3사 국장과 케이블TV방송협회·케이블TV VOD(옛 홈초이스)는 이날 오후 서울 충정로 케이블TV방송협회 사무실에서 만나 협상을 진행했지만 서로 이견만 확인한 채 협상이 결렬됐다. 지난 15일 양측이 추가 협상 기한을 이달 말로 연장한 이후 처음으로 만난 자리였다.
케이블TV방송협회는 "케이블 측은 개별SO들이 지난 13일 서울중앙지법 민사11부 판결(cps 190원 손배 직권 결정) 이후 CPS 190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법원에 공탁했다"며 "이는 지상파의 저작권을 인정하고 재송신료를 지불하는 것이며 또한 지상파가 IPTV와 합의한 조건(15% 인상 및 CPS 93원)을 그대로 수용하는 등 모든것을 양보했으니 VOD 협상을 타결하자고 촉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지상파 측은 개별SO들의 공탁은 항소 수단에 불과하고 개별SO들이 항소 취하 후 협상에 나서야 인정한다는 입장이었다"며 "그리고 MSO들도 씨앤앰과 같이 개별적으로 vod와 실시간 재송신을 연계한 포괄적인 협상에 임할 것을 요구했다"고 덧붙였다.
협상 기한은 이번주까지이며 양측은 이번주 내로 다시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못하면 VOD공급이 다시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지상파는 협상 타결이 없으면 예정대로 VOD 공급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이며 케이블업계도 VOD 공급거절 시 즉각 지상파 채널 광고중단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양측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양 측은 VOD 콘텐츠 공급 대가를 두고 협상을 벌여왔다.
케이블TV는 방영된 지 3주가 지난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지상파방송사로부터 연간 정액(약 150억원)으로 구입한 뒤 이를 가입자에게는 무료 VOD로 제공해왔다.
지상파방송사는 2015년 공급대가를 종전에 비해 15% 인상할 것과 앞으로 대가 산정 방식을 정액 기반이 아닌 가입자당 정산(CPS·가입자당 93원) 방식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지상파방송사들이 IPTV 사업자들과 합의한 내용과 동일하다.
케이블업계는 지상파방송사가 요구한 무료 VOD 콘텐츠 대가 산정을 당초 정액 기반에서 가입자 당 정산(CPS) 방식으로 전환할 것을 수용했다.
하지만 실시간 방송 재송신 대가와 관련해 지상파방송사과 법정 소송중인 아름방송 등 10개 개별 케이블방송사(SO)들에게는 VOD 콘텐츠를 주지 않겠다는 점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들 10개 개별 SO들은 지상파 방송사들이 요구하고 있는 실시간 지상파방송 재송신 대가(가입자당 280원)를 내지 않아 지상파방송사들과 법정 소송을 벌이고 있다.
케이블업계에서는 10개 개별 SO에 VOD 공급을 중단하라는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정수 케이블TV방송협회 사무총장은 "오늘 협상에서는 서로의 입장이 다르다는 것만 확인했다"며 "기일까지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으면 지상파 VOD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벌컥벌컥" 이재명 대통령, 밥 먹다 '드링킹 샷' 포착 - 아시아경제
- "살만 빠지는 줄 알았더니 테토남 됐다"…비만치료제 의외 효과 - 아시아경제
- "尹, '방이 좁다' 감옥서 투덜… 끝모를 특권의식" - 아시아경제
- 포켓볼 대회 나갔다가 호텔서 사망…전 세계 1위에 애도 물결 - 아시아경제
- "빚만 190억원…직원 26명에게 아파트 선물한 적도" 배우 임채무 근황 - 아시아경제
- 잠깐 이체만 해준건데…내 통장이 꽁꽁 묶여버렸다 - 아시아경제
- "숨이 턱턱" 쏟아지는 택배상자…빠른 배송의 이면 - 아시아경제
- "운동장서 냄새난다더니"…中 초등학교서 코피·두통 호소 잇달아 - 아시아경제
- 강남 출근길 여성에 '묻지마 발차기'…자수하더니 "그냥 기분 나빠서" - 아시아경제
- 지뢰에 몸 던져 군인 36명 구했다…한쪽 다리 잃은 '영웅'에 쏟아진 찬사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