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합의 한달..일본내 호평 우세·우익 반발도 제한적

2016. 1. 27. 18: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정부, 여유있게 한국상황 관망..여론은 '소녀상-10억 엔 연계'
지난달 28일 군위안부 관련 한일합의 발표하는 윤병세 외교장관(오른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AP.연합뉴스.자료사진)

日정부, 여유있게 한국상황 관망…여론은 '소녀상-10억 엔 연계'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군위안부 합의(작년 12월 28일) 이후 약 한 달이 경과한 가운데, 일본 여론은 한국과 달리 호평이 우세하다.

공영방송인 NHK가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 결과 일본인 64%가 군위안부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사히신문이 16∼17일 실시한 전국 전화 여론조사 결과, 일본이 군위안부 제도를 둘러싼 '군의 관여'와 '정부 책임'을 인정한 데 대해 60%가 '평가한다'고 답해 '평가하지 않는다'(23%)는 답을 크게 웃돌았다.

여론조사에서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한 한국과는 자못 다른 상황이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일본 정부 대변인 자격으로 27일 기자회견을 한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관방 부(副)장관은 군위안부 합의에 대해 "앞으로 양국 정부가 각각 합의를 착실히 이행해 가는 한편 올해를 일한 새 시대가 시작하는 해로 삼아 함께 협력하며 미래지향적 관계를 구축하고 싶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지지층인 우익의 반발도 별다른 세를 형성하지 못했다.

위안부 제도를 전반적으로 부정하는 극우 세력이 총리 관저 앞 등에서 반대 시위를 개최했지만 일본 다수 대중은 '군의 관여', '책임 통감', '사죄' 등 고노(河野) 담화(1993년 군위안부 관련 담화)와 아시아여성기금(1995년 창설) 관련 총리 서한 등에서 이미 인정한 내용을 담은 한일 합의를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또 아베 총리 등 일본 정부 요인들의 대 국민 홍보도 주효했다는 평가다.

피해자 지원재단에 출연할 10억 엔(102억 원)에 대해 '법적 책임 인정에 입각한 배상'이 아니라고 설명하고, '문제가 최종적·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는 점을 강조한 것, 한일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일 안보 공조가 강화되리라는 점을 어필한 것이 먹혀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외교적으로도 아베 총리는 국제사회의 호평을 받았다. 위안부와 마찬가지로 역사인식 문제였던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2013년 12월 26일)에 대해 "실망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던 미국은 이번 합의를 크게 환영했다.

이런 상황 속에 아베 정권은 군위안부 문제의 강제성을 흐리는 자신들의 종전 입장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한국 여론을 자극하는 '망언'은 단속하고 있다.

일례로 아베 총리는 지난 18일 국회에서 군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고, 군위안부가 '전쟁범죄'에 해당함을 (한일합의를 통해) 인정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군위안부는 매춘부'라는 자민당 사쿠라다 요시타카(櫻田義孝) 의원의 지난 14일 망언이 있은 후 아베 내각의 핵심인사가 본인에게 전화를 걸어 발언을 취소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또 아베 총리는 "(일본) 정부 관계자와 여당 관계자는 이것(위안부 문제를 최종 해결한 한일간 합의)에 입각해 향후 발언을 하기 바란다"며 입단속을 하기도 했다.

더불어 피해 당사자들과 여론의 반발에 봉착한 한국 정부가 합의 내용 중 하나인 군위안부 지원 재단 설치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 정부는 여유있게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한편 아베 정권 일부 인사들의 '언론 플레이'로 인해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이 철거돼야 지원재단에 대한 출연금 10억 엔을 낼 수 있다는 입장이 일본 사회에서 공감을 얻고 있는 것은 향후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산케이의 23∼24일 조사에서 일본 정부가 10억 엔을 내기 전에 한국 측이 소녀상을 옮겨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본인이 64.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합의에 명시된 것(소녀상 이전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가 노력한다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동시에 "한국의 적절한 대응"을 거론하며 압박하고 있다.

세코 관방 부장관은 27일 기자회견에서 소녀상 문제에 대해 "일한 양국 정부가 이번 합의를 책임감을 갖고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국 정부가 적절히 대응할 것으로 인식한다"고 말했다.

jhcho@yna.co.kr

☞ 친어머니 때리고 성폭행하려한 아들 징역형
☞ 11살차 박희순·박예진, 5년사랑 결실…"혼인신고 마쳐"
☞ 3년전 100t 치웠는데 또 20t!…독거노인 쓰레기더미와 동거
☞ "9만원대 샤오미 폰 사자"…다이소 자판기앞 '북새통'
☞ "노래방 요금 또 바가지 씌우나" 주인 살해 후 자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