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서산·백령도 공항건설 타당성 검토한다(종합)

2016. 1. 27. 14:1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남권신공항 입지는 올해 6월 결정..관심 집중
<<연합뉴스 자료사진>>

영남권신공항 입지는 올해 6월 결정…관심 집중

(세종=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국토교통부가 제주 제2공항·울릉공항·흑산공항 건설 추진에 이어 새만금과 서산, 백령도의 공항건설 타당성을 검토한다.

국토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을 마련해 28일 오후 한국교통연구원 주관으로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공청회를 연다고 27일 밝혔다.

국토부는 5년 단위로 공항개발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며 이번 5차 계획은 올해부터 2020년까지 추진된다.

5차 계획은 저비용항공시장 활성화와 중국인 관광객 증가 등 항공여건과 주변국의 공항개발 정책에 대응하고, 지역별로 새로운 수요에 맞는 공항시설을 확충하고 편의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뒀다.

국토부는 5차계획 기간에 새롭게 타당성을 검토할 사업은 새만금, 서산, 백령도 공항건설 사업이라고 밝혔다.

새만금 지역에는 기존 김제 및 군산공항의 기능을 대체하는 공항 건설방안을, 서산에는 현재의 군비행장에 민항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백령도에는 울릉공항·흑산공항과 같이 소형공항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또 올해 6월에는 영남권 신공항 입지가 결정된다. 김해공항은 2023년이면 활주로 용량이 포화하기에 국토부는 작년 6월 영남권 신공항 사전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대구·경북·경남·울산 등 4개 지역은 경남 밀양에 신공항을, 부산은 가덕도에 24시간 운영 가능한 허브공항을 지어야 한다고 첨예하게 맞서왔다.

김해공항은 영남권신공항 용역결과에 따라 장래 활용방안을 결정하되 현재의 국제선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터미널 확장 등 시설 확충 사업은 계속 시행하기로 했다.

인천공항은 2017년까지 제2여객터미널 등을 짓는 3단계 건설사업을 완료한다.

흑산공항은 2020년, 울릉공항은 2021년, 제주 제2공항은 2025년 개항을 위해 건설한다.

국토부는 항공수요예측 결과 항공여객이 2015년 약 9천만명에서 2035년 1억8천700만명으로 연평균 약 3.4%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같은 기간 국내선은 연평균 2.5%, 국제선은 4.2%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공항별 국내선 여객수요는 여수공항·울산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공항은 모두 늘어나고 국제선 여객수요는 대구공항 연평균 6.8%, 제주공항 5.6%, 김해공항 4.6% 등 모든 공항에서 늘 것으로 예측됐다.

국토부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학계와 업계, 공항공사 등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다음달 제5차 계획을 확정 고시할 예정이다.

noanoa@yna.co.kr

☞ 친어머니 때리고 성폭행하려한 아들 징역형
☞ 11살차 박희순·박예진, 5년사랑 결실…"혼인신고 마쳐"
☞ 3년전 100t 치웠는데 또 20t!…독거노인 쓰레기더미와 동거
☞ "9만원대 샤오미 폰 사자"…다이소 자판기앞 '북새통'
☞ "노래방 요금 또 바가지 씌우나" 주인 살해 후 자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