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인 것이란 무엇인가" 한나 아렌트를 만나다

2016. 1. 27. 10: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일 태생의 유대계 미국 정치이론가 한나 아렌트(1906∼1975)의 말과 글은 정치 현장에서 수없이 인용되지만, 아렌트 스스로는 선동가나 정치인과는 거리가 멀었다.

김선욱 숭실대 철학과 교수는 책 첫머리 해제에서 "비록 글로 이뤄진 것이긴 해도 마치 아렌트와 직접 대화를 나누듯 그녀의 사상 속에 담긴 숨결을 어느 정도 느낄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간 '한나 아렌트의 말'

신간 '한나 아렌트의 말'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사유한다는 말은 항상 비판적으로 생각한다는 뜻이고,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것은 늘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는 거예요."(본문 179∼180쪽)

독일 태생의 유대계 미국 정치이론가 한나 아렌트(1906∼1975)의 말과 글은 정치 현장에서 수없이 인용되지만, 아렌트 스스로는 선동가나 정치인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는 모든 '-주의'(-ism)에 대해서 일정한 거리를 뒀고, 민족이든 이익이든 맹목을 강요하는 모든 것에 비판적 태도를 취했다.

아렌트는 현대 정치학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이지만, 사실 그의 글은 긴 맥락과 반어 등으로 많은 오해와 오독을 낳기도 했다.

이번에 출간된 '한나 아렌트의 말'은 난해한 아렌트의 사상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이다.

책은 그녀가 주요작을 출간하고 사상적 체계를 확립한 1964년부터 말년인 1973년까지 시행한 네 차례 인터뷰를 묶었다.

특히 1973년 인터뷰는 아렌트가 생전 가진 마지막 인터뷰다.

여기서 아렌트는 민주주의와 전체주의의 문제, 디아스포라 유대인의 정체성 문제, 유대교와 기독교라는 종교의 문제, 저서 뒷이야기 등 학자로서, 인간으로서 깊은 말을 전한다.

"나는 이제 바깥에서 상황을 봐요. 내가 그 시절의 나보다 상황에 훨씬 덜 관여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시간이 흘렀기 때문일 수도 있어요. 15년이 아무 가치도 없는 세월은 아니잖아요?"(본문 54쪽)

김선욱 숭실대 철학과 교수는 책 첫머리 해제에서 "비록 글로 이뤄진 것이긴 해도 마치 아렌트와 직접 대화를 나누듯 그녀의 사상 속에 담긴 숨결을 어느 정도 느낄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마음산책. 윤철희 옮김. 208쪽. 1만4천500원.

eun@yna.co.kr

☞ '응팔' 류준열 "최택 역할로도 오디션 봐…결국 '정팔이'역"
☞ '응팔' 김선영 "선우 엄마 풀메이크업이에요"
☞ 으르렁 덤벼 강아지 찼다더니…법정서 거짓말 들통
☞ "노래방 요금 많이 나왔다" 주인 살해 후 자수
☞ "세계 최고 갑부 ⅔는 '금수저' 아닌 자수성가형"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