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인트에 납·카드뮴 등 유해물질 사용 줄인다(종합)

2016. 1. 27. 1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부-업계 '사용 저감 자발적 협약'..유통 이원화·라벨링 도입
페인트 유해화학물질 사용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식 (서울=연합뉴스)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페인트 유해화학물질 사용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식에서 정연만 환경부 차관(앞줄 왼쪽 세번째) 등 참석자들이 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환경부 제공 >>

환경부-업계 '사용 저감 자발적 협약'…유통 이원화·라벨링 도입

(세종=연합뉴스) 임주영 기자 = 페인트에 함유된 유해화학물질을 단계적으로 줄이고, 유해물질이 포함된 페인트는 전문점에서 판매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환경부와 페인트 제조 5개사는 27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이런 내용의 '페인트 유해화학물질 사용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

참여 업체는 강남제비스코, 노루페인트, 삼화페인트공업, 조광페인트, 케이씨씨(KCC)다.

협약에는 ▲ 내년부터 건축용 페인트 제품에서 유해화학물질 사용 제한 및 공업용 등 기타 용도 제품은 단계적 규제 ▲ 대체물질 개발 ▲ 유통구조 이원화 ▲ 라벨링 도입 등의 내용이 담겼다.

시판 페인트에는 크로뮴6가화합물·납·카드뮴 등 유해화학물질이 들어있다. 유해물질이 소량 포함된 건축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량 포함된 공업용의 경우 약 5%를 차지한다.

환경부와 제조사는 유해화학물질 함유 페인트의 사용을 점차 줄이고, 유통구조를 유해물질 함유 페인트 전문판매점과 일반판매점으로 구분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크로뮴6가화합물, 납, 카드뮴은 유해화학물질로 지정돼 이를 일정비율 이상 함유한 페인트를 판매하려면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영업·수입허가를 받아야 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업체 1만2천755곳 중 29%인 3천685곳이 페인트 판매점이다.

일본과 미국은 페인트 제품에 크로뮴6가화합물은 사용하지 않으며 유해화학물질 함유 페인트는 전문점에서 판매한다.

zoo@yna.co.kr

☞ 11살차 박희순·박예진, 5년사랑 결실…"혼인신고 마쳐"
☞ 3년전 100t 치웠는데 또 20t!…독거노인 쓰레기더미와 동거
☞ "9만원대 샤오미 폰 사자"…다이소 자판기앞 '북새통'
☞ "노래방 요금 또 바가지 씌우나" 주인 살해 후 자수
☞ "남편만 따르는게 미워" 5세 아들 살해한 엄마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