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해마다 불청객으로 찾아 오는 중국발 미세먼지와 가뭄, 녹조 현상 등 ‘환경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탄소 없는 섬과 물산업클러스터 조성 등 신기후산업도 육성한다.
환경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올해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환경부는 먼저 5대 환경난제(미세먼지, 가뭄, 녹조, 지반침하, 악취발생) 중 가장 시급한 문제인 중국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지난해 150억원 규모였던 양국 공동연구 및 대응을 확대, 강화한다. 국내 기업의 중국 대기질 관리 시장 진출도 지원한다. 정부는 미세먼지 예보기능도 강화키로 하고 중국과 도시 간 대기질 정보공유를 현재 35곳에서 74곳으로 늘릴 방침이다.
기후변화로 잦은 가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심의 빗물을 모으고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방안이 마련된다. 이를 통해 팔당댐 2배 분량인 4억8000t의 수자원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출범한 신기후체제를 맞아 환경부는 제주도를 ‘탄소제로섬’으로 만들기 위한 사업을 시범적용하고 이 모델을 개발도상국에도 수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제주도 탄소 발생의 66%를 차지하는 발전소와 차량을 친환경에너지와 전기차 등으로 대체해 탄소발생을 줄이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