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5자회담 제안, 6자 무용론이나 대체론 아냐"

신현식 기자 2016. 1. 25. 17: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300] 朴대통령 '5자회담' 발언 관련 의혹 해명

[머니투데이 신현식 기자] [[the300] 朴대통령 '5자회담' 발언 관련 의혹 해명]

외교부 청사 전경 / 사진=외교부 제공

외교부는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한 '5자회담'과 관련해 "5자 협의는 북한을 만나기 전 (당사국들이) 공동 대책을 협의하는 자리로 그 결과를 가지고 6자회담에서 북한과 협상을 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외교부 관계자는 25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5자 협의는 북한을 만나기 전에 공동 대책을 마련하는 자리고 6자 회담은 북한과 협상을 하는 자리"라며 "5자회담으로 6자회담을 대체한다는 등 전혀 차원이 다른 둘을 단순비교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5자회담 제안이 '6자회담 무용론'이라거나 6자회담을 대체할 의도가 아니었다는 설명이다.

외교부는 청와대가 외교부와 사전 논의 없이 '엇박자'를 낸 것이라는 의혹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새해 업무보고와 관련 청와대에 보고한 자료에도 5자회담 내용이 포함 돼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윤병세 외교장관과 블링큰 미 국무부 부장관이 만난 자리에서도 5자회담이 논의됐으며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우다웨이 중국 한반도 특별대표를 만날 때도 해당 언급이 있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에서 지지한다는 선언 이틀만에 6자회담으로 선회하는 듯한 발언이 나와 미국과 사전 교감 없이 엇박자를 낸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성김 미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가 상원에서 5자회담과 관련한 질문을 받았을 때 아무런 주저 없이 '당연하다'고 답변한 바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5자회담 제안을 꺼내든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북중관계가 매우 악화된 상황에서 그간 5자 협의 개최를 반대해 온 중국도 지금까지와는 달리 더 전향적으로 생각하지 않냐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앞서 지난 22일 박근혜 대통령은 외교안보부처 새해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관련 당사국들이 쉬운 문제는 아니겠지만 6자회담만이 아니라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을 시도하는 등 다양하고 창의적인 접근 방법을 찾아야 할 것"라고 말했다.

이는 6자회담 무용론을 제기하고 북한을 제외한 5자 간 회담을 촉구하는 전격적 제안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발언이 있은지 5시간만에 중국 외교부 훙레이 대변인이 정례브리핑에서 "빠른 시일 안에 6자회담이 재개되길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중국이 사실상 5자회담에 대한 거절의 뜻을 내비친 것.

미국측은 지난 23일 주한 미대사관 대변인 성명으로 "5자회담 발언을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하루만인 24일(현지시간) 미국 고위당국자가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2005년 6자회담의 공동성명을 기반으로 한 6자회담 틀 내에서의 협상"이라고 말해 한 발 물러서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이에 청와대가 25일 "6자 회담 틀을 완전히 무시한다는 게 아니다"라며 "6자 틀 내에서 5자 회담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해 보자는 것"이라고 해명하며 박 대통령의 5자회담 전격 제안은 해프닝으로 끝나는 모양새다.

신현식 기자 hsshi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