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파속 공사 강행 아파트들..현장에 가봤더니

신정은 2016. 1. 25. 14: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최강 한파가 찾아와 바깥에서 일하는 것이 여간 고역이 아닌데요.

하지만 건설사들은 공사 일정을 맞추려 콘크리트 공사를 강행하고 있습니다.

과연 이런 날씨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제대로 굳기는 할까요?

이경태 기자가 현장을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낮에도 매일 영하 10도 가까이 내려가던 지난 주, 공사를 진행하기 쉽지 않은 기온인데도 경기도 의정부의 민락2지구 공사현장 곳곳에서는 레미콘 차량을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영하 5도 아래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건조가 어려워 작업을 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건설사들은 갈탄을 때워 굳히는데 별 문제가 없다는 입장.

<공사현장 관계자> "갈탄때고 이러면 25도까지 현장 온도가 올라가고 추워도 4도~5도까지는 가거든요."

전날 콘크리트 작업을 한 현장 한곳을 찾아가봤습니다.

타설한 콘크리트 벽면을 갈탄을 때워 말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불 바로 옆에 있는 온도계의 수은주는 최저 영하 8도를 가리키고 있고 현재 기온도 영상 12도 수준, 표준 양생 환경이라 알려진 15도에서 21도에 못 미칩니다.

<건설현장 레미콘 기사> "크랙(금)이 가요. 타설을 하다보면 어는거예요. 굳는 것이 아니고 얼어버려요. 당장은 전혀 티가 안나고…"

콘크리트가 제대로 양생이 되지 못하면 벽에 결로가 생기고 곰팡이도 생길 수 있는데도 이렇게 하는 것은 결국 돈 때문.

<건설현장 관계자> "빨리 끝내면 끝낼수록 공사비 아끼는 거거든요."

같은 돈을 내고 입주한 아파트인데도 공사 시점에 따라 품질이 달라질 수 있는 상황인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알 길 없는 소비자에게 건설사는 제대로 집을 지어 팔고 있는지 자문해야 할 시점입니다.

연합뉴스TV 이경태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