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째 가뭄.."빨래·샤워할 물 부족해 죽을 맛"

2016. 1. 25. 09: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춘천 서면 당림리..먹는 물은 생수로 해결·농사 걱정

춘천 서면 당림리…먹는 물은 생수로 해결·농사 걱정

(춘천=연합뉴스) 이해용 기자 = 매서운 한파가 몰아친 강원 춘천시 서면 당림리.

여느 농촌과 다를 바 없는 이 마을에서 눈은 찾아볼 수 없었다. 올겨울 눈다운 눈이 내린 적이 없어 벼를 벴던 논의 그루터기는 건드리면 뿌연 먼지가 날 정도로 바싹 말랐다.

마을 옆 하천은 허연 바닥을 드러냈다. 흐르는 물이 없다 보니 얼음판도 사라졌다. 개울에서 얼음을 구경할 수 있는 곳은 샘이 나오는 주변이 유일했다.

지난해 봄에 시작된 이 마을의 가뭄은 겨울에도 눈이 내리지 않아 주민의 불편은 2년째로 접어들었다.

홀로 사는 한금순 할머니가 계곡물을 수원으로 하는 상수도를 틀자 물이 맥없이 흘러나왔다.

그는 물줄기가 점점 가늘어지자 그릇을 여러 개 꺼내 물을 받기 시작했다.

먹는 물은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한 생수 한 상자면 그럭저럭 버틸 수 있지만, 빨래를 하거나 샤워를 하는 데 필요한 상수돗물은 언제 끊어질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낮이나 저녁에 빈 그릇에 생활용수를 받아 썼지만, 요즘은 매서운 한파 때문에 물이 얼을까 아침에만 받고 있다.

한 씨는 "빨래도 하고, 샤워도 해야 하는데 할 수 없어 죽을 노릇"이라며 "혼자니까 속옷 같은 것만 빨아서 입고 다른 것은 세탁소에 갖다 주는데 다른 집들은 개울물이 없어 못 빨러 간다"고 말했다.

한 주민은 "물이 모자라기 때문에 걸레질도 마음껏 못한다"라고 불편을 호소했다.

그러나 마을 상수도를 개설하면서 과거부터 사용하던 우물은 대부분 묻어 버렸기 때문에 눈이나 비가 내리지 않으면 부족한 생활용수를 해결할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은 사실상 없다.

매서운 한파에 모닥불을 피워 놓고 몸을 녹이던 농민도 온통 가뭄 걱정뿐이었다.

마을에서 만난 남궁 정 할아버지는 "지난해부터 비가 안 와서 냇물이 한 번도 내려간 적이 없고, 눈도 시시하게 오는 데 그쳤다"라며 "물이 넉넉해야 하는데 올해 농사짓는 게 큰 걱정"이라고 말했다.

강원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현재까지 영동지역의 강수량은 5.7㎜로 평년 72.8㎜의 7.8% 수준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영서지역은 22.3㎜로 평년 37.3㎜의 59.7%에 그쳤다. 영서지역은 지난해 12월에 강수량이 집중됐고, 새해 들어서는 눈조차 거의 내리지 않고 있다.

강원지방기상청은 "3개월 기상 전망을 보면 올해 강수량은 예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보인다"며 "눈이 많이 내릴 가능성도 작다"고 설명했다.

dmz@yna.co.kr

☞ '삼시세끼' 15초 중간광고가 2천500만원…"지상파 비켜"
☞ 데이트 폭력男 77%는 전과…한국판 '클레어법' 가능할까
☞ 영양실조로 숨진 60대 가장…돈 없어 장례도 못 치를 처지
☞ 부산서 저체온증으로 남성 2명 숨져
☞ '복귀 축하' 박시후 중국팬들 '동네의 영웅' 광고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