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방지법 타결 실패..'정보수집권' 놓고 여야 공방 계속
[머니투데이 박소연 기자] [[the300](상보)與 "테러방지 위한 개인정보 수집권 국정원에" vs 野 "국민안전처에"]
여야가 24일 테러방지법 타결에 실패했다. 전날 테러대응 컨트롤타워를 국무총리실에 두도록 합의하며 이견을 일부 좁혔지만 '정보수집권' 등 국정원 역할과 권한을 놓고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날 여야 3+3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테러방지법과 관련해 우리 당이 야당의 요구를 수용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야당도 이제 양보를 해야 한다"며 "그런 차원에서 입법취지에 훼손되지 않게, 국민의 안전을 지켜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테러위험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여당 주장대로 국정원에 금융정보 등 개인정보수집권 등을 맡겨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이목희 더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우린 기존입장에서 변화가 없다"며 "핵심 쟁점은 국정원에 정보수집권 줄것이냐 말것이냐이기 때문에 당의 의견뿐만 아니라 대다수 국민이 양보해야 한다는 점에서 새누리당이 입장을 바꿔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날 협의에서는 전날 합의했던 '국무총리실 산하 컨트롤타워' 방안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조원진 새누리당 원내부대표는 "대테러센터를 국무총리실에 두자고 큰 줄기는 잡았는데 야당 얘기를 들으니 야당 안에 국민안전처 얘기가 들어가 있다. 받아들일 수 없다"며 "정부여당이 좀 더 얘기를 해보겠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더민주당의 제안을 검토한 뒤 최종조율을 거쳐 이틀 뒤 다시 야당과 테러방지법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여야는 그간 테러방지법 관련 국정원의 권한과 역할을 두고 수개월째 공방을 벌여왔다. 여야 원내지도부는 당초 지난해 12월 협의 과정에서 테러방지센터를 국정원에 두는 원안 대신 총리실 산하에 두는 절충안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이를 뒤집고 원안 고수 입장을 밝히면서 또 다시 답보상태가 됐다.
지난 20일 당정에서도 새누리당은 "국정원이 테러방지의 중심이 돼 합법적인 정보수집권을 갖고 대테러센터 역할을 해야 한다"며 테러방지법 원안 복귀를 주장했다. 여당 내에서 여야 원내지도부 합의를 거스르는 입장이 수시로 나오자 "여당 내에서도 스텝이 꼬인다"는 비판이 야당에서 흘러나왔다.
결국 야당은 여야 회동을 앞둔 22일 테러대응 컨트롤타워를 국민안전처에 두는 대안 성격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법안명도 '테러'를 빼고 '국제 공공 위해 단체 및 위해 단체 행위 등의 금지에 관한 법률안'으로 했다.
여당이 전날 대테러센터를 총리실에 두는 안에 합의한 것은 야당의 '대테러센터 국정원 설치 불가' 입장이 확고한 상황에서 더 이상 테러방지법 처리를 늦출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합의또한 번복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보수집권'을 둘러싸고도 여야가 합의점을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여당은 유엔이 지정한 31개 테러단체와 테러위협 인물 등에 한해 국정원에 정보수집권을 부여하자는 입장이다. 테러 예방을 위해서는 금융정보와 감청 등 정보수집이 불가피하며, 이는 국정원이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야당은 최근 국정원 해킹의혹 등 국정원의 신뢰하락을 감안할 때 국민 기본권 제한과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이 높다며 국민안전처가 정보수집권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더민주당 원내대표인 이종걸 의원실 관계자는 이날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과의 통화에서 "국정원 역할이 가장 큰 쟁점이다. 대테러 컨트롤타워를 어디에 두는지보다 금융정보를 비롯한 개인정보 수집권을 어디 두는지가 실질적으로 더 중요하다"며 "정부여당은 국정원에 정보수집권을 주자는 것인데 국정원이 신뢰를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불가하다는 것이 우리 당의 확고한 방침으로, 양보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결국 오는 26일 재협상에서 법안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정보수집권에 대한 여야의 조율 결과에 따라 테러방지법 처리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박소연 기자 soyunp@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