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급락했는데, 주유소 판매가격 왜 안내릴까

2016. 1. 23. 11: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박일한기자] 국제유가가 배럴당 20~30달러대로 추락했지만 휘발유 판매가격이 기대만큼 내리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60%를 넘어선게 그 원인으로 꼽힌다.

23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 기준으로 주유소에서 파는 휘발유 값은 리터당 평균 1,391.9원인데, 여기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62.7%(872.4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 5만원어치를 주유하면 이 가운데 3만1350원은 세금이란 얘기다.

이런 비중은 2009년 1월 셋째 주(63.9%)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휘발유 값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46.6%에서 2013년 47.8%, 2014년 49.9%, 지난해 58.5%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원유 가격과 관계없이 휘발유에 고정적으로 리터(ℓ)당 900원 가까운 세금이 붙기 때문이다.

유류세는 가격에 따라 변하는 종가세(從價稅)가 아니라 리터당 일정액이 매겨지는 종량세(從量稅)다.

흔히 유류세로 불리는 교통·에너지·환경세, 교육세, 주행세 3종 세트가 745.9원이고 부가가치세 10%가 또 붙는다. 이달 둘째 주 기준 부가세는 126.5원이다. 여기에 원유 수입 당시의 관세 3%와 수입부과금 리터당 16원까지 고려하면 세금 액수는 좀 더 커진다.

국제유가가 더 떨어져도 휘발유 값이 리터당 1300원 아래로 내려가기 어려운 구조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유류세는 국제적으로 높은 편은 아니다. 전체 휘발유 값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3개 회원국 중 15번째로 높다.

이달 둘째 주 기준으로 보면 영국이 73.5%로 가장 높고 네덜란드(71.1%), 스웨덴(69.7%), 이탈리아(69.1%), 그리스(68.2%) 순서다. 우리나라보다 세금 비중이 낮은 나라는 캐나다(38.6%), 뉴질랜드(49.7%), 일본(52.9%) 등이다.

jumpcut@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아이 영어글쓰기, 어떻게 교육하나요]
[대한민국 성매매 리포트] 아가씨 수익 月 600만~800만원…성업 풀싸롱 하루손님 250명도
GS건설이 분양하는 “마포자이3차”... 입주 때는 “분양가가 전세가
女직원, “사장과 불륜현장, SNS에 생중계”…철면피
“옷이 없는데 어떻게…” 아찔한 누드샷 女모델
놀이기구 타던 女, 속옷벗겨져 사고 ‘맙소사’
“민망해 죽겠네” 공무원 커플, 대놓고 사무실서 수차례 성관계
[성매매 리포트②] 조폭의 사업확장 공식, 조건만남-대딸방-룸살롱 순
식스틴 출신 전소미 프로듀스 101에서 A받아
신용카드사, 전국민에 10만원씩 준다(?)
GS건설이 분양하는 “마포자이3차”... 입주 때는 “분양가가 전세가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