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시장 다 죽었다고?..러시아는 살아있다

2016. 1. 23. 10: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옥철 기자 = 스마트폰 시장이 성장 정체기에 들어섰다는 분석은 몇 해 전부터 IT전자업계에 나왔다.

특히 프리미엄 시장은 성장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얘기다.

다수 시장조사기관도 지난해 스마트폰 시장의 출하량 증가율을 한자릿수로 집계했다. 2010~2012년 20~30%대로 고속성장하던 시기는 이미 지난지 오래다.

하지만 예외도 있다. 러시아 스마트폰 시장은 이제 막 가파른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23일 시장조사보고서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015년 러시아에서 판매된 스마트폰은 2천615만대로 2014년 2천140만대보다 22.2% 늘었다.

2014년의 증가율이 11.4%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지난해 갑자기 스마트폰 붐이 불어닥친 셈이다.

러시아는 2014년까지만 해도 피처폰과 스마트폰의 비중이 비슷했으나 지난해 스마트폰 물량(2천615만대)이 피처폰 판매량(1천707만대)을 처음 압도했다.

트렌드포스 보고서는 "러시아에서 모바일폰의 시장침투율은 지난해 170%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시장침투(market penetration)란 기존 시장에 새로운 상품이 등장해 구매를 자극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러시아 스마트폰 시장은 철저히 중저가 위주여서 중국 브랜드들의 독무대가 되고 있다.

지난해 팔린 러시아 시장 스마트폰의 67.8%가 124달러(약 15만원) 이하였다.

중국 스마트폰 업체 레노버와 화웨이가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레노버는 중저가폰 바이브(Vibe) 시리즈로 현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고 글로벌 3위 스마트폰 업체 화웨이는 소매 체인망을 중심으로 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리고 있다.

oakchul@yna.co.kr

☞ "이런 비행체도 있었다니"…부산에 최첨단 드론 몰려온다
☞ 87일만에 10억 조회…'강남스타일' 넘은 아델의 '헬로'
☞ 확대되는 '컴퓨터 판정'…스트라이크존까지 건드릴까
☞ 美 아카데미, '백인 잔치' 여론 굴복…개혁 나서
☞ 오대호 마지막 석탄증기 카페리, 미국 문화재로 지정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