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공천인듯 아닌듯..'상향식 공천' 논란에 바람잘날 없는 與
(서울=뉴스1) 김영신 기자 =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혁명'이라고까지 일컬으며 고수하는 상향식 공천을 둘러싼 당 안팎의 논란에 잡음이 끊이질 않는다.
상향식 공천 하에서 인재영입이란 없다는 김 대표의 강력한 방침에 당내 친박(박근혜)계를 중심으로 선거 승리 전략이 부재하다는 질타가 이어지고 잇다.
이에 더해 김 대표가 말하는 '상향식'의 기준과 어긋나는 일들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급기야 예비후보들 간 충돌까지 발생하면서 당 분열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같은 논란은 21일 최고조에 달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마포갑에 출마한 안대희 전 대법관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한다고 밝혔다.
"당력이 배가되는 시기에 지명직 공석을 채우겠다"고 공언해온 김 대표가 본인의 권한으로 당직 인선을 한 것이지만, 특정지역 예비 후보자가 경선 방식 등 공천 관련 권한을 갖는 최고위원회 일원으로 지명한 것은 특혜라는 시비가 일었다.
아울러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조경태 의원(부산 사하을)이 이날 새누리당에 입당했고, 이미 불출마를 선언한 문대성 의원(부산 사하갑)도 김 대표의 설득에 따라 불출마 의사를 접고 고향인 인천 남동갑에 출마하게 됐다.
김 대표가 '인재영입'에는 거부감을 나타내면서 영입이 아닌 '등용'을 통해 해당 인사가 경선 절차를 치른다면 상향식 공천에 위배될 게 없다고 항변한다. "낙하산 전략공천은 없다"는 본인의 신념도 흔들림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 일각에선 김 대표가 스스로 '상향식 공천'이라는 원칙에 경도돼 스텝이 꼬였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당의 한 관계자는 "안 전 대법관이 지명직 최고위원으로서 연일 공개 회의 석상에 나와 언론의 주목을 받고, 경선 방식 등을 정하는 데 일정 영향력을 행사한다면 경선 승리는 담보되는 것"이라며 "이런 식으로 길을 터주는 게 전략공천이 아니면 무엇이냐"고 반문했다.
인재 관련 논란은 계파 간 알력 다툼으로도 번졌다. '신박계' 원유철 원내대표가 최근 수도권 분구 지역에 인재영입을 통한 사실상 전략공천을 주장하지만 김 대표는 "원 원내대표 개인의 견해"라고 선을 긋고 있다.
더 나아가 친박계는 총선 승리를 견인해야할 책임이 있는 김 대표가 상향식 공천을 이유로 새 피 수혈에 소극적이라며, 대대적인 인재 영입을 압박하고 있다.
아울러 "경선을 치르면 상향식 공천"이라는 논리로 대표 등 당 지도부가 거중조정에 손을 놓는 것은 책임 방기라는 비판도 적지 않다.
김 대표와 그 주변의 반론도 만만치 않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1일 현재 전국 246개 선거구에 등록한 예비후보 1080명 가운데 58%인 630명이 새누리당 소속이다.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226명)의 2.8배에 달한다.
새누리당의 자체 분석에 따르면 이 630명 중 고위공직자, 군장성, 고위 경찰직, 법조인, 기업인, 교육가, 의사·약사·한의사, 전직 선출직 정치인 등 소위 '인재'라고 부를 법한 인사들이 280여명에 달한다.
김 대표는 이런 근거로 "전국의 인재들이 상향식 공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스스로 당에 들어온다"고 반박하면서 굳이 인재영입에 나설 이유가 없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또한 이미 분당으로 혼란에 빠진 야권의 경우 본격적인 공천 과정에서 인위적 물갈이 논란이 불가피할 것이고, 그 반사 이익은 여당에 돌아올 것이란 판단도 김 대표에게서 읽힌다.
지금이야 야권의 인재영입 경쟁 속에서 새누리당의 존재감이 약해보이지만, 본 경선 과정에 들어가면 연출될 전국 각지의 '드라마'도 김 대표가 반전 기회로 꼽는 부분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결선투표제가 도입돼 '다윗' 후보자가 '골리앗'을 이기는 이변이 나올 개연성이 크다. 이같은 전국 순차 경선과 오디션 방식의 비례대표 공모가 시작되면 상향식 공천이 제 면모를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오픈프라이머리라로 가는 전 단계인 상향식 공천이 자리잡기 위해 겪는 '성장통'을 김 대표 개인의 책임으로 몰아서는 안된다는 당내 여론도 만만치 않다.
비박계 한 의원은 "총선 승리라는 대명제 하에서 복합적 요소를 고려하는 김 대표의 방침을 뚜렷한 대안도 없이 평가절하할 순 없다"고 언급했다.
eriwhat@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영어' 하루 30분으로 미국인 되는 법..놀랍네
- "누가 살았는지 모릅니다"..일가족 3명 살해 현장 가보니
- '시승용 차' 점검이력 속여 판 BMW..전액 환불 조치
- "성관계 알리겠다"..스님 협박해 돈 뜯어낸 女화가
- 마약 취해 '곡예운전'..고교생 치어 숨지게 한 50대
- "막내딸만 쌍꺼풀 없네, 친자 아니었다…대낮에도 동료와 모텔 간 아내"
- '평당 2억' 강남 아파트 사우나서 대변 '둥둥'…샴푸 도둑 이어 '인분 테러'
- "립스틱 땟국물 우러나 족발인 줄" 솥에 마이크 삶은 노래방 사장님 '시끌' [영상]
- "혼자 오신 손님, 주인에 말 걸지 마세요"…식당에 써 붙은 안내문 시끌
- 공중화장실 전기 끌어다 쓴 얌체 캠핑카 눈살…"형법상 절도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