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년 전에도 대량 학살이 있었다..역대 최고(最古)(네이처)

2016. 1. 21. 14: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인류 간의 대량학살은 적어도 1만 년 전부터 시작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연구팀은 아프리카 케냐에 위치한 나타루크에서 선사시대에 대량학살된 총 27구의 호모사피엔스 유골을 발견했다는 논문을 최근 세계적인 과학지 네이처(Nature) 최신호에 발표했다.

기존 연구보다 6000년은 거슬러 올라간 이번 발굴은 인류 간의 학살이 오랜 뿌리처럼 내려오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유골들이 대량학살로 추정되는 것은 손이 묶인 채 심하게 폭행당하고 석기에 찔리고 뼈 곳곳이 부러졌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성인 남성 유골들은 머리와 가슴을 강타당해 부러지고 깨진 흔적도 나와 당시의 극한 살육의 흔적을 그대로 증언했다.

특히 유골 중에는 8명의 여성과 6명의 어린이도 포함됐으며 심지어 여성 중에는 만삭의 임신부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들 총 27명이 혈연들로 이루어진 한 부족으로 당시 땅과 식량을 두고 다투던 상대 부족에게 집단학살 당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를 이끈 마르타 미라존 라흐 박사는 "인류 간의 대량학살이 선사시대에도 이루어졌다는 명백한 증거"라면서 "진화적인 관점에서 보면 현 인류에게 '폭력의 피'는 오래 전부터 흘러 내려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나타루크 학살은 농경이 시작된 사회에서 땅, 여성, 아이, 음식 등을 강탈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라면서 "대량 학살의 현장은 호숫가 근처 상대적으로 물과 작물이 풍부한 곳으로서 집단 생존 경쟁으로 인해 이같은 살육터가 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미모의 유치원 교사 ‘성매매 알바’ 영상 유출 파문☞ 아이슬란드는 어떻게 ‘꽃청춘’의 천국이 됐을까☞ 소변으로 보는 건강 진단법 8가지…주황색은 위험?!☞ IT와 다이어트가 만나면?…살 빼주는 신기술☞ 청사에서 알몸으로 사랑 나눈 공무원…CCTV 포착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