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큰 "'北제재' 확실·강력 대응..中, 특별한 역할있다"(종합3보)
"中, 무역 등 많은 레버리지…리더십 기대, 제재 모든것 테이블 위에"
오후 중국으로…中역할 거론하며 "베이징서 얘기할 것"
윤병세·임성남 잇따라 면담…윤병세 "북한 대 국제사회의 대결"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김효정 기자 = 미국 국무부의 2인자인 토니 블링큰 부장관은 20일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을 면담, 북한의 4차 핵실험 대응방안을 협의했다.
블링큰 부장관은 이날 면담 직후 외교부 청사 2층 로비에서 임성남 1차관과 함께 기자들을 만나 "중국은 북한과의 특별한 관계를 고려하면 '특별한 역할'이 있다"면서 강력하고 포괄적 대북제재를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거듭 촉구했다.
블링큰 부장관은 "북한의 모든 무역은 사실상 중국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중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과 레버리지가 있다"면서 "그래서 우리는 중국이 리더십을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북중간 무역을 직접 거론한 것은 대북제재의 일환으로 북중간 무역 축소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자신이 이날부터 이틀간, 또 오는 27일로 예정된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의 방중 계획을 거론하며 "그것이 베이징에서 우리가 얘기할 내용"이라면서 방중 시에도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직접 촉구할 계획임을 밝혔다.
그는 강력하고 포괄적 대북제재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피한 채 "모든 것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있다"면서 "뉴욕(안보리)에서 (논의를) 시작했고, 독자적으로 그리고 다른 나라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추가제재를) 모색 중"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한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논란에 대해서는 "아무런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면서 "(향후) 한국과 충분한 협의를 통해서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 차관은 "북한이 잘못된 행위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한다는 데 한미 양국의 공동된 목표를 재확인했다"면서 "그런 목표를 바탕으로 안보리에서 강력하고 포괄적인 제재조치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한미 양국이 외교적 노력을 다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임 차관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한미 양국은 만반의 대비 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블링큰 부장관은 앞서 윤 장관과의 면담에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이 매우 확실하고 강력해야 할 필요성에 더 이상의 의견일치를 볼 수는 없다"면서 최상의 국제공조가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우리는 유엔 안보리에서, 그리고 관련국 정부 간에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면서 "북한에 대한 대응이 강력해야 한다는 결심을 우리는 공유하고 있고, 북한 정권의 행동을 바꾸기 위해 (국제사회가) 나서길(work to)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최대 불안정 요소"라면서 "북한의 행동은 우리(한미)는 물론 전 세계 국가들이 용납할 수 없다"면서 북한의 핵실험을 강력히 비판했다.
윤 장관은 "북한이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무거운 대가를 치른다'는 것을 깨우치게 하기 위해 우리가 지혜와 역량을 발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국제사회가 단합해야 할 때"라면서 "이것은 '북한 대(對) 국제사회의 대결(North Korea versus international community)'"이라고 강조했다.
블링큰 부장관과 윤 장관은 앞으로 예정된 여러 양·다자 외교일정을 최대한 활용해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지난 16일 모친상을 당했던 윤 장관은 이날 나흘 만에 업무에 복귀했다.
블링큰 부장관은 이날 윤 장관 예방에 앞서 임 차관을 면담했다. 임 차관과는 지난 16일 도쿄에서의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에서 만남 이후 나흘 만에 다시 얼굴을 맞댄 것이다.
그는 외교부 방문 이후 한국 기자들과 별도의 만남에서는 최근 제재 해제를 이룬 이란 사례를 들며 "북한도 이에 영감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불행히도 정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링큰 부장관은 이날 오후 베이징으로 향했다. 케리 장관도 27일 베이징을 방문할 예정이다.
지난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미일 정상과 외교장관 차원의 잇따른 통화와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차원의 한미일(13일)·한중(14일)·한러(19일) 회동, 도쿄에서의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16일) 등을 토대로 미국이 중국과 직접 담판에 나서는 모양새다.
한편, 블링큰 부장관은 한국 기자들과 만남에서 최근 한일 위안부 합의는 한미일 협력 강화의 기회가 된 면이 있다며 "양국 정상의 비전과 용기에 박수를 보내며, 이는 치유와 화해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lkw777@yna.co.kr
- ☞ 초등생 아들 시신 훼손 부부 엽기 행각…"도대체 왜"
- ☞ 학대받다 맨발 탈출 '16kg 11살 소녀' 건강하게 퇴원
- ☞ 남편에게 장기간 폭언…"이혼하고 위자료 주라"
- ☞ 100살 넘은 베트남 '전설의 거북' 죽어…세계에 4마리
- ☞ 성매매 'X파일'에 오른 6만명 "나 지금 떨고있니?"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가수 이상민, 이혼 20년 만에 비연예인과 재혼 | 연합뉴스
- '퍼펙트 게임'·'명당' 연출한 박희곤 감독 별세…향년 56세 | 연합뉴스
- 이유 없이 27일간 상습 결근 20대 사회복무요원 집행유예 | 연합뉴스
- 팝스타 마이클 볼튼, 악성 뇌종양 투병 중…"계속 싸울 것" | 연합뉴스
- "가족의 맛" 한국계 美우주인 조니 김, 우주 식량 '고추장 버거' | 연합뉴스
- [샷!] 데이트 하기 전에…"누구를 지지하세요?" | 연합뉴스
- 해외 출장 중 여기자 성추행…전 JTBC 기자에 징역 1년 구형 | 연합뉴스
- 시어머니 병간호한 며느리 폭행한 시아버지, 항소심도 징역 4년 | 연합뉴스
- 또 층간소음 칼부림…남양주서 40대 여성 한밤 흉기 휘둘러 | 연합뉴스
- 김수현 측, '가세연' 운영자 스토킹 혐의로 추가 고소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