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쑥 자라는 사물인터넷 시장..작년 28% 성장해 4조8천억원

2016. 1. 19. 12: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재유 차관, '사물인터넷 진흥에 관한 법률안 제정을 위한 입법 공청회' 축사 (서울=연합뉴스) 1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사물인터넷 진흥에 관한 법률안 제정을 위한 입법 공청회'에서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이 축사를 하고 있다. 2015.12.15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지난해 국내 사물인터넷(IoT) 시장이 전년보다 28% 성장하며 4조8천여억원 규모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 사물인터넷 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 IoT 시장 매출액(잠정)이 전년보다 28% 증가한 4조8천12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조사는 IoT 사업을 영위하는 1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30일 이뤄졌다.

사업 분야별로 보면 제품기기 분야 매출액이 2조2천58억원으로 가장 비중(45.8%)이 컸다. 이어 네트워크(1조4천848억원·30.9%), 서비스(6천83억원·12.6%), 플랫폼(5천136억원·10.7%) 순이었다.

IoT 적용 서비스 분야별로는 개인화 서비스(스마트홈·헬스케어·미아방지 등)의 비율이 31.0%로 가장 높았고, 지불·결제(매장판매관리·NFC결제서비스 등)가 19.5%, 사회·문화(도서관리·관광정보제공 등)가 8.5% 등이었다.

IoT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사업체 수는 1천212개였다. 서비스 분야 사업체가 551개(45.5%)로 가장 많았고, 제품기기 분야가 319개(26.3%), 네트워크 분야가 174개(14.4%), 플랫폼 분야가 168개(13.9%)였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10~49인 사업체가 623개(51.4%)로 가장 많았고, 1~9인 사업체가 359개(29.6%), 50~299인 사업체가 201개(16.6%), 300인 이상 사업체가 29개(2.4%)인 것으로 조사됐다.

IoT 기술 인력은 2만2천737명으로 전년보다 911명(4.2%) 증가했다. 올해 충원계획은 2천693명으로 집계돼 지난해보다 11.8% 증가할 전망이다.

강성주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IoT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육성을 강화하고 본격적인 서비스 발굴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sisyphe@yna.co.kr

☞ '빚 독촉' 선배 살해 시신훼손 20대 검거
☞ '10여 차례 도전' 의경 입대 어떤 장점이 있길래…
☞ 미국 성인잡지 '펜트하우스' 가판대서 사라진다
☞ 싸이 '대디' 뮤비 1억뷰 돌파…韓 최초 4개 뮤비 연속 기록
☞ '대박나거나, 대박 유명해지거나'…혜리·설현·쯔위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