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연행의 증거는 없다"..아베 또 '위안부 뒤집기'
[앵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 합의 이후 아베 일본 총리는 이제 마음 놓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18일) 또다시 "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른바 불가역, 즉 되돌리지 않는다는 조건에 대해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과거의 입장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 합의했다고 했지만, 정말 그런가… 의구심이 생기는 대목입니다. 일본은 자신들이 뭐라 해도 또다시 이 문제로 한국이 시비 걸지 못한다는 입장이 분명해 보입니다.
이정헌 도쿄 특파원입니다.
[기자]
한일 위안부 합의 직후, 기시다 일본 외상.
[기시다 후미오/일본 외상 (지난달 28일) : 당시 (일본)군의 관여로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깊은 상처를 입힌 문제로서 일본 정부는 책임을 통감합니다.]
하지만 한달도 안 돼 아베 총리는 강제연행 사실을 부인했습니다.
[아베 신조/일본 총리 (오늘 참의원) : (일본) 정부가 발견한 자료 중에 군이나 관헌에 의한 강제연행을 직접 보여주는 기술은 없었다는 입장에는 어떤 변화도 없습니다.]
아베 총리 본인의 1차 집권기인 2007년, 강제성을 부인하던 기존 입장으로 되돌아간 겁니다.
이번 합의가 전쟁범죄를 인정한 것은 아니라는 말까지 했습니다.
기시다 외상도 "해외 언론이 위안부를 성노예로 기술하는 건 부적절하며, 사실에 입각하지 않은 표현"이라고 보조를 맞췄습니다
이같은 발언들은 최종적이며 불가역적이라는 위안부 합의의 문구를 악용해, 법적 책임을 부정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베 "한·일 위안부 합의, 전쟁범죄 해당 인정한 것 아니다"
- 일본 의원 "위안부, 직업으로서 매춘부"..논란 확산
- 대통령 친서 하루만에 망언..'개인 일탈' 선그은 정부
- 아베 "위안부 합의, 전쟁범죄 인정 아냐..북핵 대응 협력 가능해져"
- 박 대통령 "위안부 합의, 최선 다한 것" 비판론 반박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