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입법촉구 1천만 서명 참여..현직 대통령으로 처음(종합2보)

2016. 1. 18. 18: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판교역 광장서 서명.."국회가 역할 제대로 못하니 국민이 바로 잡으려는 것" "저도 너무 애가 탔는데, 여러분들 심정이 어떠실지"

판교역 광장서 서명…"국회가 역할 제대로 못하니 국민이 바로 잡으려는 것"

"저도 너무 애가 탔는데, 여러분들 심정이 어떠실지"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경제단체와 기업인 등의 주도로 진행 중인 경제활성화 입법촉구를 위한 1천만인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열린 6개 부처 합동업무보고 자리에서 "저 역시 국민들과 함께 서명운동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힌 뒤 판교역 광장의 서명운동 현장에 들러 직접 서명을 했다.

국회선진화법으로 인해 '통법부'로 불리던 과거와 달리 국회의 입법환경이 변화한데다 여야간 이견으로 핵심법안 처리가 장기간 지연되자 국가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인 현직 대통령이 '일반 국민' 자격으로 민간차원의 서명운동에 동참한 것이다.

특히 입법사항과 관련한 국민서명 운동에 현직 대통령이 참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1992년 10월 노태우 당시 대통령이 국민서명 운동에 동참한 적이 있었으나 '무재해 일터만들기'가 목표였다.

박 대통령은 서명부스를 지키고 있던 박용후 성남상의 회장이 "관련 법안들이 통과돼 기업이 활성화됐으면 좋겠다"고 말하자, "얼마나 답답하면 서명운동까지 벌이겠는가. 저도 노동개혁법, 경제활성화법을 통과시켜달라고 했는데도 안돼서 너무 애가 탔는데, 당사자인 여러분들은 심정이 어떠실 지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이어 박 대통령은 "그래서 힘을 보태드리려고 이렇게 참가를 하게 됐고 이런 뜻이 국민들과 경제인 여러분들의 마음에 잘 전달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를 비롯한 38개 경제단체와 업종별 협회는 최근 '민생구하기 입법 촉구 국민운동본부'를 발족시키고 전국적으로 범국민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업무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오죽하면 국민들이 그렇게 나서겠는가. 이것은 국회가 그 역할을 제대로 못 하니까 국민들이 나서서 바로잡으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국회가 국민들로부터 아예 외면당하는 이런 절박한 상황까지 가지 않길 바라고, 부디 국민들과 경제 단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서 최대한 빨리 입법 문제를 도와주시기 바란다"고 호소했다.

박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과 서명운동 동참은 지난 13일 대국민담화에서 현재의 상황을 안보와 경제의 동시위기로 규정하며, "국민이 나서달라"고 호소한 것의 연장선상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지금 우리에게는 시간이 없다. 또다시 IMF 위기와 같은 고통의 시간을 갖지 않으려면 지금부터라도 시간을 잃지 않아야 하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국민들과 경제계에서 절박하게 처리할 것을 호소하는 경제활성화법과 노동개혁법들이 하루속히 국회에서 통과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테러방지법안의 미비로 테러방지를 위한 국제적인 정보 공유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거론하면서 "이것은 정말 말이 안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업무보고에서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은 우리의 경제 재도약을 이끄는 성장엔진이지 두 날개"라며 "금융 개혁은 성장 엔진의 동력을 제공하는 혁신의 기반"이라고 말했다.

lkbin@yna.co.kr

☞ 시민의식 빛난 8분간의 '골든타임'…50대 살려
☞ 아파트 배관함서 실탄 72발, 수류탄 장약 106개 발견
☞ 시신훼손 초등생 아버지 "나도 어릴적 체벌 많이받아"
☞ "택배왔습니다" 문열자 강도로 돌변한 60대 덜미
☞ 여성변회, '수면 내시경 성추행' 의혹 의사 고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