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공천 혁명" 목청..총선 전 마지막 승부수 통할까

김영신 기자 2016. 1. 18. 17: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천 목전, 총선 승리 전략 부재 질타 속 회견..'100% 상향식'으로 정면돌파 선택 '국민' 39번, '개혁' 26번..김무성표 공천 성공 여부 지켜봐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정국 현안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2016.1.18/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서울=뉴스1) 김영신 기자 = 김무성 대표는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그는 '로우키' 기조를 택했지만 동시에 물러섬 없는 강경함이 읽혔다.

정치 생명을 걸고 추진하겠다던 100%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가 무산된 이래로 여권은 20대 총선 공천제도를 둘러싸고 연일 내홍을 겪어왔다.

더욱이 험지출마론, 인재영입 등 논란으로 여당의 20대 총선 승리 전략이 부재하다는 당 안팎의 비판은 최근 김 대표를 연일 따라다녔다.

취임 후 김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지적은 늘 있어왔지만, 총선이 100일도 남지 않은 현재 그 지적의 무게는 이전과 달라보인다.

총선 승리가 새누리당은 물론 여권 유력 대선주자로 꼽히는 김 대표 개인의 정치적 명운과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100% 상향식 공천은 정치 혁명"이라는 김 대표의 이날 신년 기자회견은 그가 총선 전에 마지막으로 던지는 마지막 승부수로 풀이됐다.

측근들에 따르면 김 대표가 며칠 전 회견문 초안을 직접 쓰고, 이후부터 전날까지 메시지 담당 보좌진 및 측근 의원들과 최종 원고를 가다듬었다고 전해진다. 최근 일정을 최소화하며 회견 준비에 몰두한 김 대표는 전날에는 저녁 식사까지 거르고 밤 10시께까지 의원회관 집무실과 회견장을 오가며 마지막 연습을 했다.

공천 혁명, 4대 개혁, 선진화법 폐기 등. 회견문에는 김 대표의 지난 연설과 크게 다르지 않는 내용들이 담겼다.

회견문 낭독 및 질의응답 부분을 합쳐 김 대표가 가장 많이 언급한 단어는 '국민'(주민 포함)이다. 김 대표는 '국민'을 39번 언급했다. 주로 상향식 공천을 강조하는 과정에서다. 이어 '공천'이 36번, '개혁'이 28번, '선진화법'이 16번 강조됐다.

김 대표는 오전 10시 정각부터 이런 내용의 회견문을 정확히 15분 간 낭독했다.

노동개혁 등 4대 개혁 부분에서 목소리가 커지고 손을 올려보이는 등의 큰 액션을 취하기도 했다.

상향식 공천 부분에서는 프롬프터에 띄워진 원고에도 없는 말들이 즉석에서 튀어 나왔다. 공천을 권력자가 "과거처럼" 좌지우지 하지 않고 "철저하게" 상향식으로 해서 총선을 "크게" 승리하겠다고 했다.

본 회견보다 관심이 쏠린 부분은 역시 언론과의 일문일답이었다. 11개 질문이 모두 총선과 연관됐고, 직접적으로는 9개 질문이 공천 관련 논란을 겨냥한 것이었다.

김 대표는 반복적으로 "국민(주민)이 심판할 것", "100% 상향식 공천" 이라는 취지의 답변을 내놨다.

또한 쟁점법안과 선거구 획정안 처리 등 국회 현안 처리가 지지부진한 근본적인 이유가 선진화법이라고 거듭 진단하면서 20대 국회에서 선진화법을 폐기하기 위해 180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김 대표는 '180석 승리' 주장이 오만하다는 당 안팎의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이날은 "180석은 여당 뿐 아니라 선진화법 폐기에 동조하는 야당 의원의 의석도 포함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고질적인 계파 및 당청 갈등에 대한 질문에도 김 대표는 "언론에서 하는 얘기다", "쓴 소리를 공개적으로 하지 않아도 할 말은 청와대에 하고 있다"고 피해갔다.

김 대표 주변에서는 이날 회견에 대해 "공천 혁명에 대한 절박하고도 진실한 호소였다"는 긍정적 평가를 내놨다.

회견문 중 야당의 전략공천을 '뿌리없는 꽃꽂이', 여당의 상향식 공천을 '생명력 있는 풀뿌리'라는 비유가 나오는데, 이 표현을 직접 제안한 사람이 김 대표라고 한다. 전략공천은 절대 불가하다는 확고한 신념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총선 필패'까지 거론되는 상황에서 본인의 신념을 다시 상기한 것 외에 뾰족한 돌파구를 내놓지 못했다는 반론도 여전하다.

'현역 기득권 지키기'라는 비판을 받는 현 공천룰에 대해 상향식 공천이라는 원칙론으로만 대응한 탓에 현 위기 상황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안이하다는 지적이다.

한 관계자는 "비박계에서도 총선 승리 전략으로 순수한 의미에서의 전략공천 필요성이 제기될 정도로 엄중한 상황인데, 김 대표의 현실적 응답이 오늘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 본인은 회견 후 "평가는 언론에 맡기겠다"며 "상향식 공천 확립을 가장 강조하고 싶었다. 상향식 공천은 전례 없는 혁명"이라고 자평했다.

eriwhat@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